경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4곳 압수수색

경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4곳 압수수색

2025.10.02. 오전 11:4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습니다.

대상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배터리 이전 작업 관련 업체 3곳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오승훈 기자!

[기자]
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앞입니다.

[앵커]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경찰은 오늘(2일) 오전 9시부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 4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습니다.

압수수색에 동원된 경찰 인력은 30여 명으로, 대상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배터리 이전 작업 관련 업체 3곳 등 모두 4곳입니다.

현재 국정자원 건물 내부에 들어가 안전 관리 지침과 배터리 이전 작업 관련 자료 등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는데요.

경찰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해 현재까지 17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습니다.

이 가운데 현장 책임자와 작업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한 상태입니다.

경찰은 관련자 진술과 합동 감식 결과 등을 토대로 작업자들에게 과실이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와 국과수에 맡긴 배터리 정밀 감정 결과 등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할 계획입니다.

[앵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안전 관리 지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은 인재라는 지적도 나왔다고요.

[기자]
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어제(1일) 저녁 현안질의를 통해 '국정자원 화재'는 안전 관리 지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은 인재라고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국정자원이 지난해 보안구역이란 이유로 불이 난 5층 전산실 등의 화재안전조사를 거부했을 뿐 아니라, 배터리 분리 작업 시 지켜야 할 규정도 따르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국민의힘은 배터리 분리 작업 시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지침을 준수하지 않았고 작업 과정을 관리 감독해야 할 전문가도 현장에 부재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해당 지적에 대해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직원 면담 결과, 당시 배터리 충전율이 80% 이상이었다"며 화재 당시 배터리 방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인정했습니다.

경찰은 압수수색과 합동 감식을 통해 국회 행안위에서 지적된 배터리 방전 여부 등 수사를 광범위하게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 불이 난 5층 전산실에서 확보된 발화 추정 배터리 6개는 국과수로 옮겨 정밀 감정을 의뢰한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YTN 오승훈입니다.


영상기자 : 권민호
영상편집 : 이은경


YTN 오승훈 (5w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