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불은 22시간 만인 어제(27일) 오후 완전히 꺼졌습니다.
어제 1차 감식에 이어 경찰과 소방당국, 국과수의 2차 합동 감식이 시작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홍성욱 기자!
2차 합동 감식이 현재 진행 중인가요.
[기자]
오늘 오전 10시 반부터 시작된 2차 합동 감식이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경찰 8명, 소방 2명, 국과수 5명으로 구성된 15명이 감식에 투입됐는데요.
이들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설 내·외부에 대한 광범위한 합동 감식을 벌이고 있습니다.
애초 2차 감식은 2시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점차 시간이 늘어나 늦은 오후까지 이뤄질 예정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불은 22시간만인 어제 오후 6시쯤 모두 꺼졌습니다.
소방당국은 현재 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 연기까지 모두 제거했고, 재발화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불에 탄 배터리 384개를 서버에서 분리해 옮기는 작업을 모두 완료했습니다.
발화 원인으로 의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확보한 건데요.
열폭주가 우려되는 배터리는 물을 뿌리고 이동식 침수조에 담가 냉각시켰습니다.
냉각시킨 배터리는 안정화를 거친 뒤 향후 국과수로 보내 정밀감정을 벌일 예정입니다.
감식팀의 말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강재석/대전경찰청 과학수사계장 : 시설 구성품에 대해서 감정 의뢰를 했고요. 현재 배터리 팩에 대해서도 저희가 그 증거물을 확보해서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고 안정화가 되면 국과수에 감정 의뢰해서 감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대전경찰청은 형사과장을 팀장으로 하는 20여 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꾸렸습니다.
작업 과정에서 화재 원인으로 추정되는 문제가 있었는지 등 이번 화재와 관련된 사실관계와 과실 여부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쯤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불이 났고, 22시간여 만에 진화됐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폭발로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추가로 들어오는 내용은 확인되는 대로 다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전국부에서 YTN 홍성욱입니다.
영상기자 : 장영한
영상편집 : 전자인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불은 22시간 만인 어제(27일) 오후 완전히 꺼졌습니다.
어제 1차 감식에 이어 경찰과 소방당국, 국과수의 2차 합동 감식이 시작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홍성욱 기자!
2차 합동 감식이 현재 진행 중인가요.
[기자]
오늘 오전 10시 반부터 시작된 2차 합동 감식이 지금도 계속 진행 중입니다.
경찰 8명, 소방 2명, 국과수 5명으로 구성된 15명이 감식에 투입됐는데요.
이들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설 내·외부에 대한 광범위한 합동 감식을 벌이고 있습니다.
애초 2차 감식은 2시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점차 시간이 늘어나 늦은 오후까지 이뤄질 예정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불은 22시간만인 어제 오후 6시쯤 모두 꺼졌습니다.
소방당국은 현재 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 연기까지 모두 제거했고, 재발화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불에 탄 배터리 384개를 서버에서 분리해 옮기는 작업을 모두 완료했습니다.
발화 원인으로 의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확보한 건데요.
열폭주가 우려되는 배터리는 물을 뿌리고 이동식 침수조에 담가 냉각시켰습니다.
냉각시킨 배터리는 안정화를 거친 뒤 향후 국과수로 보내 정밀감정을 벌일 예정입니다.
감식팀의 말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강재석/대전경찰청 과학수사계장 : 시설 구성품에 대해서 감정 의뢰를 했고요. 현재 배터리 팩에 대해서도 저희가 그 증거물을 확보해서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고 안정화가 되면 국과수에 감정 의뢰해서 감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대전경찰청은 형사과장을 팀장으로 하는 20여 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꾸렸습니다.
작업 과정에서 화재 원인으로 추정되는 문제가 있었는지 등 이번 화재와 관련된 사실관계와 과실 여부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쯤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불이 났고, 22시간여 만에 진화됐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폭발로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추가로 들어오는 내용은 확인되는 대로 다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전국부에서 YTN 홍성욱입니다.
영상기자 : 장영한
영상편집 : 전자인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