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12·3 계엄 사태 당시 서울시가 행정안전부보다 앞서 자치구 등에 '청사 폐쇄 통제'를 전파했다는 더불어민주당 측 주장에 서울시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이민경 서울시 대변인은 오늘(10일) 입장문을 내고 오세훈 시장은 국민의힘 자치단체장 가운데 가장 먼저 "계엄 반대, 즉각 철회" 입장을 밝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25분 행안부에 유선 전화로 '청사 내 폐쇄 및 출입자 통제' 지시와 전달 사항을 받았고, 당직실 근무 매뉴얼에 따라 당직 연동 시스템으로 다음날인 4일 0시 8분 자치구 등에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당시 청사를 폐쇄한 적 없고, 출입기자들도 자유롭게 청사를 출입한 기록이 확인된다며 민주당은 사실과 다른 정치 공세를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양일혁 (hyu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민경 서울시 대변인은 오늘(10일) 입장문을 내고 오세훈 시장은 국민의힘 자치단체장 가운데 가장 먼저 "계엄 반대, 즉각 철회" 입장을 밝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25분 행안부에 유선 전화로 '청사 내 폐쇄 및 출입자 통제' 지시와 전달 사항을 받았고, 당직실 근무 매뉴얼에 따라 당직 연동 시스템으로 다음날인 4일 0시 8분 자치구 등에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당시 청사를 폐쇄한 적 없고, 출입기자들도 자유롭게 청사를 출입한 기록이 확인된다며 민주당은 사실과 다른 정치 공세를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양일혁 (hyu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