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유명 의류 브랜드를 사칭해 결제를 유도한 뒤 나 몰라라 하는 가짜 온라인 사이트 피해가 잇따라 서울시가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서울시와 한국소비자원은 '알로'와 '스투시', '우영미' 등 유명 의류 브랜드 사칭 관련 소비자 상담이 최근 7개월 동안 137건 접수됐다며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해외에서 운영되는 이들 사기 사이트는 '80% 세일', '당일 한정' 등 표현으로 현혹하고 소비자가 환불을 요청하면 대응하지 않거나 연락을 끊어 피해를 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접속경로가 확인된 112건 가운데 93.7%는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 할인 광고를 통해 피해자들이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해당 사기 사이트는 공식 홈페이지의 브랜드 로고와 메인화면 구성, 상품 소개를 그대로 사용해 소비자들이 공식 홈페이지로 오해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고 서울시는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소셜미디어 광고를 통해 처음 접한 해외쇼핑몰의 경우 해당 브랜드의 공식 주소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특히 브랜드명에 'vip', 'sale' 같은 특정 단어가 더해진 사이트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양일혁 (hyu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와 한국소비자원은 '알로'와 '스투시', '우영미' 등 유명 의류 브랜드 사칭 관련 소비자 상담이 최근 7개월 동안 137건 접수됐다며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해외에서 운영되는 이들 사기 사이트는 '80% 세일', '당일 한정' 등 표현으로 현혹하고 소비자가 환불을 요청하면 대응하지 않거나 연락을 끊어 피해를 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접속경로가 확인된 112건 가운데 93.7%는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 할인 광고를 통해 피해자들이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해당 사기 사이트는 공식 홈페이지의 브랜드 로고와 메인화면 구성, 상품 소개를 그대로 사용해 소비자들이 공식 홈페이지로 오해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고 서울시는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소셜미디어 광고를 통해 처음 접한 해외쇼핑몰의 경우 해당 브랜드의 공식 주소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특히 브랜드명에 'vip', 'sale' 같은 특정 단어가 더해진 사이트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양일혁 (hyu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