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유기 동물 돌봤는데"...민원에 당장 철거 위기

"15년간 유기 동물 돌봤는데"...민원에 당장 철거 위기

2025.09.01. 오전 01:1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15년 동안 유기 동물을 돌봐온 보호소 두 곳이 무허가 건축물이라는 지적에 철거 위기에 놓였습니다.

울산 지역에선 지자체가 운영하는 유기 동물 보호소가 없는 상황에 대안없는 행정집행이 또 다른 피해로 이어지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오태인 기자입니다.

[기자]
개들이 자원봉사자 손길을 받으며 기분 좋은 듯 꼬리를 흔듭니다.

유기됐거나 구조된 개들이 사는 곳은 후원금과 사비로 운영되는 동물 보호소입니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있는 보호소 2곳에는 개와 고양이 150마리가 머뭅니다.

하지만 이들 동물이 집을 잃을 위기에 놓였습니다.

시설 일부가 불법 건축물로 적발돼 이행강제금이 부과되면서 철거를 고민해야 할 지경에 놓였습니다.

[조금자 / 별이네 보호소 소장 : 불쌍한 애들 데리고 한 마리라도 더 구해주려고 이렇게 살리려고 목숨 살리려고 이렇게 하는데 나가라면 어디로 나가요. 그리고 돈도 사실 없습니다.]

비록 불법 건물이지만 15년이 넘도록 별다른 문제 없이 운영을 이어왔습니다.

하지만 3년 전 보호소 인근 하천 변에 파크골프장이 만들어지고 이용객이 많아지면서 소음과 악취 민원이 이어졌습니다.

[조금순 / 행복한 미미네 보호소 소장 : 내가 놓으면은 얘네들이 어디로 가요? 시 보호소밖에 더 가겠어요? 기다려 준다면은 아마 개체 수도 줄고 그러니까 그때까지 봐주셨으면 좋겠고 지금은 대책이 너무 없어요.]

대안 없는 행정 조치에 유기 동물은 또 한 번 버려질 위기에 놓였습니다.

관할인 울산 북구는 동물 개체 수도 3분 1수준으로 줄이도록 했지만, 보호소를 계속 운영할 수 있는 조치나 지원은 없었습니다.

[울산 북구청 관계자 : 민간 동물보호소가 그동안은 음성적으로 운영되다가 양성화를 할 거거든요. 양성화를 해서 관리를 하려고 했는데 지금은 건축물이 불법이라 이행강제금도 부과될 거고 철거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울산에 있는 동물 보호소 11곳은 모두 민간 위탁 방식으로 운영되고,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곳은 하나도 없는 상황.

원칙만 내세운 일방적인 행정에 사람에게 버려진 개와 고양이들은 다시 생존 위기에 내몰렸습니다.

YTN 오태인입니다.



YTN 오태인 (otae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