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통행료 2천 원...인천 시민 무료화 추진

제3연륙교 통행료 2천 원...인천 시민 무료화 추진

2025.08.30. 오전 00:5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인천 청라와 영종도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인천시는 영종·청라 주민들을 시작으로 무료화를 순차 적용해 내년 4월부터는 인천 시민 전체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강태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말 개통 예정인 인천 제3연륙교 통행료가 소형차 기준 2천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경차는 천 원, 16인승 초과 승합차 등 중형차는 3천4백 원, 대형차는 4천4백 원입니다.

하지만 인천 시민들에게는 단계적으로 무료화가 이뤄집니다.

개통과 함께 영종·청라 주민은 무료가 적용되고 통행료 감면시스템이 구축되는 내년 4월부터는 인천 시민 전체로 확대됩니다.

이럴 경우 인근의 유료 다리인 영종대교와 인천대교는 통행량이 줄어들어 인천시가 손실보전금을 줘야 합니다.

인천시는 2039년까지 모두 2천967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와 인천시민단체는 다리 건설이 애초에 유료화로 이뤄진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유정복 / 인천광역시장 : 국가는 전 국민이 이용하는 인천국제공항 접근로인 인천대교와 영종대교를 민자사업으로 추진하여 인천 시민에게만 그 짐을 지우는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그럼에도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둔 지금 국가는 주민들에게 또다시 새로운 통행료 부담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또 국토부가 정한 영종, 인천대교와 제3연륙교 통합채산제는 독립채산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인천 시민단체들은 유료도로를 건설할 때는 반드시 이를 회피할 무료 도로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들어 제3연륙교 무료화 실현을 위해 법적 조치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특히 국토부가 정한 기형적 구조의 통합채산제에 대해서는 헌법소원을 제기하고 영종하늘도시와 청라국제도시 분양 원가에 건설비용을 포함해 놓고도 다리 건설을 15년 늦게 한 LH에 대한 감사원 감사 청구도 제기하겠다는 겁니다.

[장세현 /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문화위원장 : 교량건설 책임은 외면했고 국토부는 이를 방조하며 국민 세금이 민자사업자의 배를 불리는데 흘러가도록 했습니다. 우리는 감사원 감사를 청구해 국토부와 LH의 불공정과 특혜를 낱낱이 드러낼 것입니다.]

건설 계획부터 쉽지 않았던 제3연륙교가 이름을 정하는 것도 통행료를 산정하는 것도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YTN 강태욱입니다.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