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국산 '로봇착유기' 타이완 수출...세계 시장 진출 발판

[녹색] 국산 '로봇착유기' 타이완 수출...세계 시장 진출 발판

2025.08.07. 오후 9:1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국산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로봇착유기'가 타이완으로 수출되면서 세계 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로봇착유기를 활용하면 낙농인들의 노동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최기성 기자입니다.

[기자]
젖소가 착유실로 들어서자 로봇 팔이 움직입니다.

센서가 소의 유두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젖을 짭니다.

농촌진흥청과 민간기업이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로봇착유기'입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기술 개발을 시도했는데, 세 번째 도전 만에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최영경 / '로봇착유기' 개발 업체 대표 : 사람이 먹는 우유가 생산되는 과정이 1년 365일 하루에 두 번씩 하루도 쉬지 않고 해야 되는 노동이라서 이런 노동을 극복해야 된다라는 의미에서 만들어진 게 바로 로봇 착유기입니다.]

가격이 한 대당 2억 원대로 4억 원인 외국산보다 저렴하고, 실시간 유두 스캔 기술로 탐지 정확도를 99%까지 끌어올렸습니다.

개별 착유 기능이 있어서 일부 유두에 이상이 생겨도 나머지 우유를 폐기하지 않아도 됩니다.

착유 때 들어가는 노동 시간은 40% 정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타이완에 로봇착유기 7대를 수출했습니다.

[임기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장 : 외국에 수출해서 이 로봇 착유의 성능을 좀 확인한 다음에 그쪽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서 좀 더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현재 국내에선 13개 농가에서 모두 15대를 운영 중입니다.

농진청은 이번 수출을 계기로 다른 나라로의 수출도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최기성입니다.


영상편집 : 장명호
디자인 : 임샛별
영상협조 : 농촌진흥청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