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예나 지금이나, 집과 마을은 남향이 기본.
그래서 남쪽은 세상을 바라보는 방향, ‘앞'이다.
옛사람들이 앞산을 ‘남산(南山)'이라 부른 이유다.
전국 산 이름 중에도 ‘남산'이 100개를 넘어 제일 많다. (국토지리정보원)
서울의 남산도 그런 이유로 이름 붙여졌다.
조선 시대 남산은 봉수대를 통해 소식을 전달받던 곳
지금의 남산은 전파탑을 통해 소식을 송출하는 곳
YTN 서울타워와 함께 600년 도읍 서울의 상징이 되었다.
한양의 변방이었던 남산은 더 넓어진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이다.
제작 : 김태형
AD : 심혜민
YTN 김태형 (th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래서 남쪽은 세상을 바라보는 방향, ‘앞'이다.
옛사람들이 앞산을 ‘남산(南山)'이라 부른 이유다.
전국 산 이름 중에도 ‘남산'이 100개를 넘어 제일 많다. (국토지리정보원)
서울의 남산도 그런 이유로 이름 붙여졌다.
조선 시대 남산은 봉수대를 통해 소식을 전달받던 곳
지금의 남산은 전파탑을 통해 소식을 송출하는 곳
YTN 서울타워와 함께 600년 도읍 서울의 상징이 되었다.
한양의 변방이었던 남산은 더 넓어진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이다.
제작 : 김태형
AD : 심혜민
YTN 김태형 (th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