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무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면서 농가들의 고충도 커지고 있습니다.
농민들이 작업하는 비닐하우스 안은 마치 한증막이나 다름없다고 하는데요,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기수 기자!
[기자]
네, 충북 청주 비닐하우스 농가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보기만 해도 열기가 느껴지는 것 같은데, 현장 분위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곳은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면서 한증막을 방불케 하고 있습니다.
바람도 거의 불지 않아 제대로 숨쉬기도 힘들 정도인데요.
비닐하우스 안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계속 흐르고, 이 흐르는 땀 때문에 눈을 제대로 뜨고 있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곳 충북 청주를 비롯해 충북 전역엔 폭염경보가 발효 중입니다.
낮 최고 기온은 35도 안팎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충북에선 열사병과 열탈진 등 모두 46명의 온열 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는데요.
주로 실외에서 발생했는데, 논이나 밭에서 작업하던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에서는 온열 질환자 발생 등 피해를 막기 위해 비닐하우스 내 냉방·환기 시설이 정상 작동하는지와 규칙적인 휴식, 아이스 팩 구비 등 폭염 대응 행동 요령을 농가에 안내하고 있습니다.
오후 늦게부터는 충북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는데요.
하지만 숨 막히는 무더위를 식히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입니다.
체감온도는 기온에 습도의 영향이 더해져서 사람이 느끼는 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인데,
습도가 10% 정도 증가하면 체감 온도를 1도가량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어 오히려 더 습하고 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기상청은 햇볕이 강한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진 온열 질환 발생 가능성이 큰 만큼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요.
부득이하게 야외 활동을 해야 한다면 시원한 물을 수시로 마시고, 그늘에서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지금까지 충북 청주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YTN 김기수입니다.
영상기자 : 원인식
YTN 김기수 (energywat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무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면서 농가들의 고충도 커지고 있습니다.
농민들이 작업하는 비닐하우스 안은 마치 한증막이나 다름없다고 하는데요,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기수 기자!
[기자]
네, 충북 청주 비닐하우스 농가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보기만 해도 열기가 느껴지는 것 같은데, 현장 분위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곳은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면서 한증막을 방불케 하고 있습니다.
바람도 거의 불지 않아 제대로 숨쉬기도 힘들 정도인데요.
비닐하우스 안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계속 흐르고, 이 흐르는 땀 때문에 눈을 제대로 뜨고 있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곳 충북 청주를 비롯해 충북 전역엔 폭염경보가 발효 중입니다.
낮 최고 기온은 35도 안팎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충북에선 열사병과 열탈진 등 모두 46명의 온열 질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는데요.
주로 실외에서 발생했는데, 논이나 밭에서 작업하던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에서는 온열 질환자 발생 등 피해를 막기 위해 비닐하우스 내 냉방·환기 시설이 정상 작동하는지와 규칙적인 휴식, 아이스 팩 구비 등 폭염 대응 행동 요령을 농가에 안내하고 있습니다.
오후 늦게부터는 충북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는데요.
하지만 숨 막히는 무더위를 식히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입니다.
체감온도는 기온에 습도의 영향이 더해져서 사람이 느끼는 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인데,
습도가 10% 정도 증가하면 체감 온도를 1도가량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어 오히려 더 습하고 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기상청은 햇볕이 강한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진 온열 질환 발생 가능성이 큰 만큼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요.
부득이하게 야외 활동을 해야 한다면 시원한 물을 수시로 마시고, 그늘에서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지금까지 충북 청주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YTN 김기수입니다.
영상기자 : 원인식
YTN 김기수 (energywat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