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생활체육 인구는 늘고 있지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부족해 학교 체육시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시설 대관을 둘러싼 동호회 간 갈등이 자주 빚어져, 공정한 이용 기준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HCN 충북방송 박종혁 기자입니다.
[기자]
청주의 한 배드민턴 동호회에서 활동 중인 A 씨.
지난 2월, 한 초등학교의 강당 사용을 위한 추첨에 참여했다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단 2팀만 뽑는 무작위 추첨에 신청은 무려 32개 팀.
일부 동호회가 인원을 나눠 중복 참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문제는 이를 방지하거나 제재할 방안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학교 관계자 : 공고를 올릴 때 그런 문구는 넣진 않았거든요. 쪼개기가 안 된다, 왜냐하면 쪼개기를 할 거라는 생각을 못 했고….]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습니다.
협회나 종목 단체에 가입돼 있지 않으면 신청조차 할 수 없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다른 학교와의 중복 계약을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도 이를 걸러낼 방안이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배드민턴 동호회원 : (저희 동호회원이) 230명인데 저희는 협회에 등록을 안 했어요. 저희는 학교 대관을 하는 것 자체가 모든 시민한테 열려 있는 기회인데….]
청주시체육회에 등록된 회원종목단체는 49개, 소속 동호인만 5만8천여 명입니다.
등록되지 않은 생활체육인까지 고려하면 실제 이용 수요는 더 많지만, 활용 가능한 학교 체육시설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실제 충북은 강원과 전북 등 비슷한 규모의 지역과 비교해도,
배드민턴이나 배구 같은 생활밀착형 구기종목을 위한 체육 인프라는 절반 수준.
또 청주 지역 초·중·고등학교의 다목적 교실 개방률도 72.3%.
여전히 10곳 중 3곳은 일반 시민들의 이용이 제한된 상태입니다.
[박권순 / 충북 청주시 배드민턴협회장 : 약간 불미스러운 일이 있을까 해서 교장 선생님들이나 이제 행정실에서 약간 꺼리는 경우가 있는데….]
충북도교육청은 학교 체육시설 개방을 독려하고 통합 예약 시스템 구축도 검토하고 있지만, 현장 체감도는 낮은 상황.
보다 현실적인 대책과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해보입니다.
HCN 뉴스 박종혁입니다.
영상기자: 김갑두
YTN 박종혁 hcn (gentl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생활체육 인구는 늘고 있지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부족해 학교 체육시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시설 대관을 둘러싼 동호회 간 갈등이 자주 빚어져, 공정한 이용 기준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HCN 충북방송 박종혁 기자입니다.
[기자]
청주의 한 배드민턴 동호회에서 활동 중인 A 씨.
지난 2월, 한 초등학교의 강당 사용을 위한 추첨에 참여했다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단 2팀만 뽑는 무작위 추첨에 신청은 무려 32개 팀.
일부 동호회가 인원을 나눠 중복 참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문제는 이를 방지하거나 제재할 방안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학교 관계자 : 공고를 올릴 때 그런 문구는 넣진 않았거든요. 쪼개기가 안 된다, 왜냐하면 쪼개기를 할 거라는 생각을 못 했고….]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습니다.
협회나 종목 단체에 가입돼 있지 않으면 신청조차 할 수 없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다른 학교와의 중복 계약을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도 이를 걸러낼 방안이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배드민턴 동호회원 : (저희 동호회원이) 230명인데 저희는 협회에 등록을 안 했어요. 저희는 학교 대관을 하는 것 자체가 모든 시민한테 열려 있는 기회인데….]
청주시체육회에 등록된 회원종목단체는 49개, 소속 동호인만 5만8천여 명입니다.
등록되지 않은 생활체육인까지 고려하면 실제 이용 수요는 더 많지만, 활용 가능한 학교 체육시설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실제 충북은 강원과 전북 등 비슷한 규모의 지역과 비교해도,
배드민턴이나 배구 같은 생활밀착형 구기종목을 위한 체육 인프라는 절반 수준.
또 청주 지역 초·중·고등학교의 다목적 교실 개방률도 72.3%.
여전히 10곳 중 3곳은 일반 시민들의 이용이 제한된 상태입니다.
[박권순 / 충북 청주시 배드민턴협회장 : 약간 불미스러운 일이 있을까 해서 교장 선생님들이나 이제 행정실에서 약간 꺼리는 경우가 있는데….]
충북도교육청은 학교 체육시설 개방을 독려하고 통합 예약 시스템 구축도 검토하고 있지만, 현장 체감도는 낮은 상황.
보다 현실적인 대책과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해보입니다.
HCN 뉴스 박종혁입니다.
영상기자: 김갑두
YTN 박종혁 hcn (gentl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