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5·18민주묘지 추모 발길...'평화와 연대' 다짐

국립 5·18민주묘지 추모 발길...'평화와 연대' 다짐

2025.05.16. 오전 03: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올해로 45주년을 맞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앞두고 광주는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잔혹한 국가폭력 앞에 끝까지 저항한 광주정신을 기리고, 세계 평화를 모색하는 국제포럼도 개막했습니다.

나현호 기자입니다.

[기자]
신군부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려다 스러져간 오월 영령이 잠든 곳입니다.

희생자를 추모하는 리본이 흩날립니다.

묘역에는 어른부터 아이들까지 참배객 발길이 이어집니다.

[조은희 / 서울 면목동 : 나와 우리 남편은 느꼈는데 우리 딸이나 우리 이 손녀는 모르고 자랐기 때문에 이거를 가르쳐 주려고 나왔습니다…앞으로는 절대 일어나지 말아야 할 5·18을 들려주고 싶어서 왔습니다.]

올해로 45번째를 맞는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앞두고 추모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달에만 4만 명 넘는 참배객이 다녀갔습니다.

[강한구 / 전남 순천시 : 그 일은 다시 언제든지 일어날 수가 있고 우리는 그 일이 다시 일어났을 때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한다는 걸 지금 이 현장에서 배우고 싶어요.]

전쟁과 폭력에 맞서 인권 도시 간에 연대를 모색하는 세계 인권 도시 포럼도 광주에서 개막했습니다.

전 세계 평화와 인권활동가 6백여 명이 참가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쟁과 갈등에 대한 진단과 평화 구상이 이뤄졌습니다.

[제임스 히난 /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장 : 평화를 구축하는 과정은 어려운 과제입니다. 사회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어야 하며, 치유돼야 하지만, 피해자들의 권리도 명확해야 합니다.]

이번 주말, 5·18 최후 항쟁지가 있는 옛 전남도청 앞에서는 전야제가 열리고, 이어 5·18 당일에는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정부가 주관하는 기념식이 열릴 계획입니다.

YTN 나현호입니다.




YTN 나현호 (nhh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