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수소연료전지 추진 설명회 반대 집회
반대 주민 "안전성 불안·환경영향평가 부재"
산업부 "수소연료전지는 안전한 미래에너지"
"폭발위험 부동산 폭락 vs 가짜뉴스 속지 마라"
반대 주민 "안전성 불안·환경영향평가 부재"
산업부 "수소연료전지는 안전한 미래에너지"
"폭발위험 부동산 폭락 vs 가짜뉴스 속지 마라"
AD
[앵커]
정부의 수소경제정책에 맞춰 전국에 수소연료발전 시설이 속속 들어서고 있는데요.
인천의 한 지역에서 주민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산업부와 환경전문가가 나서서 수소연료의 안전성을 설득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위험시설이 주민동의도 제대로 받지 않고 들어서는 것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기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수소연료전지 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설명회를 앞두고 (인천 동구) 주민들이 반대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김종호 / 동구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반대 비대위 공동대표 : 주거지 앞에 들어서는 이 발전소와 관련해서 주민들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어서 10개월째 이렇게 반대를 하고 있고요.]
주민들은 인체에 미치는 안전성 검증과 환경영향평가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산업부는 수소연료전지가 안전하고 폭발 위험성도 없는 친환경 미래에너지라며 주민설득에 나섰습니다.
[최연우 / 산업부 신에너지산업과 과장 : "여기 와서 15분을 떠들었던 산업부의 과장도 바로 (집 앞) 7백 미터 앞에서 연료전지가 돌고 있고, 저도 구십이 되는 노모를 모시고 있습니다. 여러분께 가장 클린하고 가장 깨끗한 에너지를 드리고 싶습니다.]
폭발 위험성 때문에 부동산가격도 폭락했다는 항의에 대해 환경전문가는 가짜뉴스에 속지 말라며 주민을 진정시키려 하지만 속수무책입니다.
[양이원영 / 환경운동연합 처장 : 석탄발전소나 아니면 원전처럼 또 심지어 가스발전소처럼 주거지 인근에 들어서서는 안된다. 그렇게 얘기하는 것은 저는 감히 가짜뉴스라고 말씀드리고 싶고요.]
반대 주민들이 일제히 퇴장을 한 뒤에도 날카로운 신경전은 이어졌습니다.
수소연료전지발전소는 서울 상암동과 경기도 화성 등 전국에 다양한 규모로 설치돼 운전 중입니다.
인천연료전지도 지난해부터 수십 차례 주민견학과 설명회를 열면서 동구 지역에 39.6MW급 발전시설을 추진해왔습니다.
주민펀드 조성과 지역주민 채용 등 상생방안도 내놨지만 사업 진척이 없자, 이달 안에 공사를 재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친환경 미래에너지라며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지원해 온 정부는 사업자 측과 거부 주민들 사이에서 곤혹스럽기만 합니다.
제대로 주민 설득을 하지 못해 사업 초기, 첫 단추부터 꼬인 상황이어서 갈등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
YTN 이기정[leekj@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의 수소경제정책에 맞춰 전국에 수소연료발전 시설이 속속 들어서고 있는데요.
인천의 한 지역에서 주민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산업부와 환경전문가가 나서서 수소연료의 안전성을 설득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위험시설이 주민동의도 제대로 받지 않고 들어서는 것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기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수소연료전지 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설명회를 앞두고 (인천 동구) 주민들이 반대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김종호 / 동구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반대 비대위 공동대표 : 주거지 앞에 들어서는 이 발전소와 관련해서 주민들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어서 10개월째 이렇게 반대를 하고 있고요.]
주민들은 인체에 미치는 안전성 검증과 환경영향평가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산업부는 수소연료전지가 안전하고 폭발 위험성도 없는 친환경 미래에너지라며 주민설득에 나섰습니다.
[최연우 / 산업부 신에너지산업과 과장 : "여기 와서 15분을 떠들었던 산업부의 과장도 바로 (집 앞) 7백 미터 앞에서 연료전지가 돌고 있고, 저도 구십이 되는 노모를 모시고 있습니다. 여러분께 가장 클린하고 가장 깨끗한 에너지를 드리고 싶습니다.]
폭발 위험성 때문에 부동산가격도 폭락했다는 항의에 대해 환경전문가는 가짜뉴스에 속지 말라며 주민을 진정시키려 하지만 속수무책입니다.
[양이원영 / 환경운동연합 처장 : 석탄발전소나 아니면 원전처럼 또 심지어 가스발전소처럼 주거지 인근에 들어서서는 안된다. 그렇게 얘기하는 것은 저는 감히 가짜뉴스라고 말씀드리고 싶고요.]
반대 주민들이 일제히 퇴장을 한 뒤에도 날카로운 신경전은 이어졌습니다.
수소연료전지발전소는 서울 상암동과 경기도 화성 등 전국에 다양한 규모로 설치돼 운전 중입니다.
인천연료전지도 지난해부터 수십 차례 주민견학과 설명회를 열면서 동구 지역에 39.6MW급 발전시설을 추진해왔습니다.
주민펀드 조성과 지역주민 채용 등 상생방안도 내놨지만 사업 진척이 없자, 이달 안에 공사를 재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친환경 미래에너지라며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지원해 온 정부는 사업자 측과 거부 주민들 사이에서 곤혹스럽기만 합니다.
제대로 주민 설득을 하지 못해 사업 초기, 첫 단추부터 꼬인 상황이어서 갈등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
YTN 이기정[leekj@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