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는 최근 아현동 KT 화재와 열 수송관 파열 등이 잇따라 지하시설물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짐에 따라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고, 법령을 개정하는 등 '지하시설물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우선 민간 지하시설물 정보를 시가 운영하는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해 관리하기로 하고 자료제출을 의무화할 계획입니다.
또 열 수송관이나 전력구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주요 지하시설물은 도시관리계획 결정 뒤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야 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통신구와 공동구, 가스관, 상하수도 등 서울 지하시설물은 모두 3만2천 킬로미터로 이 가운데 통신구와 전력구, 가스는 민간에서 관리해 현황 파악에 어려움이 큽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는 우선 민간 지하시설물 정보를 시가 운영하는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해 관리하기로 하고 자료제출을 의무화할 계획입니다.
또 열 수송관이나 전력구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주요 지하시설물은 도시관리계획 결정 뒤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야 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통신구와 공동구, 가스관, 상하수도 등 서울 지하시설물은 모두 3만2천 킬로미터로 이 가운데 통신구와 전력구, 가스는 민간에서 관리해 현황 파악에 어려움이 큽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