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조진혁 앵커
■ 출연 : 공항진 YTN 재난 자문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오늘 비 상황 전문가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항진 YTN 재난 자문위원 전화로 연결합니다.
위원님 나와계시죠?
[공항진]
안녕하세요.
[앵커]
오늘 오전부터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느 지역에 얼마나 비가 올까요?
[공항진]
밤새 빗줄기가 굵어지고 있죠.
북한 지방에 머물던 비구름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철원 지방 그리고 연천 그리고 그리고 동두천 이쪽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지방으로 비가 집중되고 있는데.
현재 비가 가장 많이 내리고 있는 지역을 보니까 철원군 의천이라는 곳에 시간당 40.5mm의 장대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마음을 놓을 수가 없는데요.
강원도 철원에는 호우경보가 발효 중이고 경기도 연천과 경기도 동두천, 포천, 파주 그리고 강원도 화천, 양구, 인제 이런 곳에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상태입니다.
비구름이 동서로 길게 아주 좁은 띠를 이루고 있어요.
그래서 이 비구름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오늘 전국에 비가 올 것으로 보이는데 오후까지 서울, 경기와 강원에는 30~100mm, 많은 곳은 150mm가 넘는 큰비가 오겠고 충청과 남부지방에는 내일 아침까지 최대 100~120mm 이상의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앵커]
얼마 전에는 비가 많이 왔던 남부지방이 특히 걱정인데 지금 비구름대가 남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면서요?
[공항진]
그래서 오전에는 주로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지방에 비가 집중될 것으로 보이고요.
오후에는 수도권과 경기 남부, 강원 남부와 충청 북부에, 그리고 밤부터 내일 새벽 사이에는 충청 남부와 남부지지방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비의 특징은 동서로 길게 비구름이 있는데 이 비구름이 가늘어요.
좁은 띠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지역이 일정치 않고 쏟아질 때는 강하게 쏟아지다가 주춤할 때도 있고 이런 형태를 띨 것으로 보여서 더욱 대비하기가 어려운 상황인데 일단은 길게 이어진 비구름이 남쪽으로 내려가니까 강한 비가 내릴 때는 여러 가지 대비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앵커]
짚어주신 지역에 계신 주민께서는 주의하셔야 할 것 같은데요.
올여름 들어서 비가 짧은 시간에 아주 강하게 내리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공항진]
지구가 더워지면서 어떻게 보면 날씨의 기본적인 패턴이 깨졌다고 볼 수가 있는데 불안정이 강해지는 곳이 생기면서 그 불안정이 강해지는 곳에서는 먹구름이 아주 높게 발달하고 높게 발달한 비구름에서 많은 양의 비가 떨어지는 이런 현상들이 여름철 내내 이어진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폭염과 폭우, 폭염과 폭우 이렇게 번갈아가면서 복합재난이 발생하는 것이 올여름철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지구가 더워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렇게 불안정한 여름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요.
이렇게 되면 국지적인 호우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번 비의 특징, 조금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바로 이웃한 곳에는 비가 별로 안 오는데 그 지방에만 비가 쏟아지는 게릴라성 국지성 호우의 형태를 띠고 있거든요.
그래서 지금 비가 많이 안 온다고 해서 안심하실 것은 아니고요.
자기 지방에도 언제든지 강한 비가 쏟아질 수 있다는 점,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다만 비구름들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일단 큰 비구름이 벗어나면 안심할 수는 있으니까 기상청이나 또는 다른 휴대전화의 어플 같은 것을 활용해서 현재 비구름이 어디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런 것들을 찾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러니까 가장 최신의 기상정보를 활용하시는 것이 하나의 방법으로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최근 연구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온도가 최근 10년 새 가장 높았다고 하더라고요.
이것과 최근의 폭우가 관련이 있습니까?
[공항진]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면 아무래도 대기로 증발시키는 수증기의 양이 늘 수밖에 없죠.
그래서 일정 부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사실 그것만으로 해석하기는 어렵고요.
여름철에는 우리나라 쪽으로 수증기의 강이라고 하는데 수증기가 집중되는 형태의 움직임들이 나타납니다.
수증기가 모이는 곳에서는 강한 비가 쏟아지는 것이 여름철의 기후 패턴이라고 볼 수 있는데.
때문에 앞으로도 해수면의 온도가 높아지면 잠재적인 수증기의 양이 늘고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수증기의 강이 열리는 곳, 중부지방이나 남부지방으로 열릴 경우에는 수증기가 집중되면서 큰비가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각할 수가 있겠습니다.
[앵커]
지금 비가 계속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가면서 지반이 약해지고 있는 부분이 걱정인데 산사태와 침수 우려도 그만큼 커지고 있죠?
[공항진]
비가 계속 집중되면 지반이 많은 물을 머금게 되고요.
그러면 지반이 약해지죠.
물러진다고 표현할 수가 있겠죠.
그렇게 되면 강한 비가 또 오게 되면 물줄기에 따라서 지반이 휩쓸려 내려가는 산사태 가능성이 커지는 것인데요.
특히 산속에 계시는 분들은 산사태의 전조증상이 혹시 나타나면 꼭 지켜보셔야 될 것 같아요.
만약에 비가 80mm 이상 내린 상황에서 나무 뿌리가 드러나 있다든지 아니면 물길이 생기지 않았던 곳에 갑자기 물길이 생겼다든지, 그런 다음에 쿵하는 소리가 갑자기 들린다든지 흙이나 바위가 굴러내리는 소리가 들린다든지 이런 경우에는 바로 대피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에는 산사태 지도가 나와 있는데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도 많거든요.
그러니까 조금 전에 말씀드린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시고 즉시 대피하시는 것이 큰 피해를 막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앵커]
오늘은 폭우 관련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마는 더위도 걱정입니다.
앞으로 남은 여름 날씨, 얼마나 더울까요?
[공항진]
이번 비는 내일 소강상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주말쯤에 또 비 소식이 있어요.
물론 주말쯤에 비는 띠를 이룬 비구름이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비를 뿌리는 이유가 남쪽에 있는 폭염을 몰고 왔던 더운 공기가 조금씩 물러나고 있기 때문이거든요.
그래서 이 더운 공기가 완전히 물러나면 여름이 끝나는 건데 사실은 아직은 8월 초이기 때문에 여름이 끝날 시기는 아니고요.
그래서 남쪽의 더운 공기가 잠시 물러갔다가 다시 북쪽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올라가는 과정에서 주말에서 다음 주 초까지 주로 남부지방에 많은 비가 올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는 오늘 내리는 비보다는 강할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조심하시고요.
그리고 이 비가 마무리되면, 그러니까 다음 주 중반 이후에는 다시 더운 공기가 올라오면서 전국적으로 폭염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요.
그리고 최근 2020년 이후에 기후 패턴이 변하면서 늦더위가 이어지는 경향을 보여요.
그래서 지난해에는 특히 가을, 9월에 더웠는데 올해도 이렇게 늦더위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니까 폭염과 폭우가 계속 반복되니까 이런 두 가지 복합재난에 철저한 대비를 하시는 것만이 여름철 건강에 피해 없이 보낼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앵커]
비와 더위 모두 주의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공항진 YTN 재난 자문위원과 설명 들어봤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공항진 YTN 재난 자문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오늘 비 상황 전문가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항진 YTN 재난 자문위원 전화로 연결합니다.
위원님 나와계시죠?
[공항진]
안녕하세요.
[앵커]
오늘 오전부터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느 지역에 얼마나 비가 올까요?
[공항진]
밤새 빗줄기가 굵어지고 있죠.
북한 지방에 머물던 비구름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철원 지방 그리고 연천 그리고 그리고 동두천 이쪽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지방으로 비가 집중되고 있는데.
현재 비가 가장 많이 내리고 있는 지역을 보니까 철원군 의천이라는 곳에 시간당 40.5mm의 장대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마음을 놓을 수가 없는데요.
강원도 철원에는 호우경보가 발효 중이고 경기도 연천과 경기도 동두천, 포천, 파주 그리고 강원도 화천, 양구, 인제 이런 곳에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상태입니다.
비구름이 동서로 길게 아주 좁은 띠를 이루고 있어요.
그래서 이 비구름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오늘 전국에 비가 올 것으로 보이는데 오후까지 서울, 경기와 강원에는 30~100mm, 많은 곳은 150mm가 넘는 큰비가 오겠고 충청과 남부지방에는 내일 아침까지 최대 100~120mm 이상의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앵커]
얼마 전에는 비가 많이 왔던 남부지방이 특히 걱정인데 지금 비구름대가 남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면서요?
[공항진]
그래서 오전에는 주로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지방에 비가 집중될 것으로 보이고요.
오후에는 수도권과 경기 남부, 강원 남부와 충청 북부에, 그리고 밤부터 내일 새벽 사이에는 충청 남부와 남부지지방에 국지성 호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비의 특징은 동서로 길게 비구름이 있는데 이 비구름이 가늘어요.
좁은 띠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지역이 일정치 않고 쏟아질 때는 강하게 쏟아지다가 주춤할 때도 있고 이런 형태를 띨 것으로 보여서 더욱 대비하기가 어려운 상황인데 일단은 길게 이어진 비구름이 남쪽으로 내려가니까 강한 비가 내릴 때는 여러 가지 대비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앵커]
짚어주신 지역에 계신 주민께서는 주의하셔야 할 것 같은데요.
올여름 들어서 비가 짧은 시간에 아주 강하게 내리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공항진]
지구가 더워지면서 어떻게 보면 날씨의 기본적인 패턴이 깨졌다고 볼 수가 있는데 불안정이 강해지는 곳이 생기면서 그 불안정이 강해지는 곳에서는 먹구름이 아주 높게 발달하고 높게 발달한 비구름에서 많은 양의 비가 떨어지는 이런 현상들이 여름철 내내 이어진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폭염과 폭우, 폭염과 폭우 이렇게 번갈아가면서 복합재난이 발생하는 것이 올여름철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지구가 더워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렇게 불안정한 여름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요.
이렇게 되면 국지적인 호우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번 비의 특징, 조금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바로 이웃한 곳에는 비가 별로 안 오는데 그 지방에만 비가 쏟아지는 게릴라성 국지성 호우의 형태를 띠고 있거든요.
그래서 지금 비가 많이 안 온다고 해서 안심하실 것은 아니고요.
자기 지방에도 언제든지 강한 비가 쏟아질 수 있다는 점,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다만 비구름들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일단 큰 비구름이 벗어나면 안심할 수는 있으니까 기상청이나 또는 다른 휴대전화의 어플 같은 것을 활용해서 현재 비구름이 어디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런 것들을 찾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러니까 가장 최신의 기상정보를 활용하시는 것이 하나의 방법으로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최근 연구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온도가 최근 10년 새 가장 높았다고 하더라고요.
이것과 최근의 폭우가 관련이 있습니까?
[공항진]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면 아무래도 대기로 증발시키는 수증기의 양이 늘 수밖에 없죠.
그래서 일정 부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사실 그것만으로 해석하기는 어렵고요.
여름철에는 우리나라 쪽으로 수증기의 강이라고 하는데 수증기가 집중되는 형태의 움직임들이 나타납니다.
수증기가 모이는 곳에서는 강한 비가 쏟아지는 것이 여름철의 기후 패턴이라고 볼 수 있는데.
때문에 앞으로도 해수면의 온도가 높아지면 잠재적인 수증기의 양이 늘고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수증기의 강이 열리는 곳, 중부지방이나 남부지방으로 열릴 경우에는 수증기가 집중되면서 큰비가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각할 수가 있겠습니다.
[앵커]
지금 비가 계속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가면서 지반이 약해지고 있는 부분이 걱정인데 산사태와 침수 우려도 그만큼 커지고 있죠?
[공항진]
비가 계속 집중되면 지반이 많은 물을 머금게 되고요.
그러면 지반이 약해지죠.
물러진다고 표현할 수가 있겠죠.
그렇게 되면 강한 비가 또 오게 되면 물줄기에 따라서 지반이 휩쓸려 내려가는 산사태 가능성이 커지는 것인데요.
특히 산속에 계시는 분들은 산사태의 전조증상이 혹시 나타나면 꼭 지켜보셔야 될 것 같아요.
만약에 비가 80mm 이상 내린 상황에서 나무 뿌리가 드러나 있다든지 아니면 물길이 생기지 않았던 곳에 갑자기 물길이 생겼다든지, 그런 다음에 쿵하는 소리가 갑자기 들린다든지 흙이나 바위가 굴러내리는 소리가 들린다든지 이런 경우에는 바로 대피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에는 산사태 지도가 나와 있는데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도 많거든요.
그러니까 조금 전에 말씀드린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시고 즉시 대피하시는 것이 큰 피해를 막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앵커]
오늘은 폭우 관련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마는 더위도 걱정입니다.
앞으로 남은 여름 날씨, 얼마나 더울까요?
[공항진]
이번 비는 내일 소강상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주말쯤에 또 비 소식이 있어요.
물론 주말쯤에 비는 띠를 이룬 비구름이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비를 뿌리는 이유가 남쪽에 있는 폭염을 몰고 왔던 더운 공기가 조금씩 물러나고 있기 때문이거든요.
그래서 이 더운 공기가 완전히 물러나면 여름이 끝나는 건데 사실은 아직은 8월 초이기 때문에 여름이 끝날 시기는 아니고요.
그래서 남쪽의 더운 공기가 잠시 물러갔다가 다시 북쪽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올라가는 과정에서 주말에서 다음 주 초까지 주로 남부지방에 많은 비가 올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는 오늘 내리는 비보다는 강할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조심하시고요.
그리고 이 비가 마무리되면, 그러니까 다음 주 중반 이후에는 다시 더운 공기가 올라오면서 전국적으로 폭염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요.
그리고 최근 2020년 이후에 기후 패턴이 변하면서 늦더위가 이어지는 경향을 보여요.
그래서 지난해에는 특히 가을, 9월에 더웠는데 올해도 이렇게 늦더위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니까 폭염과 폭우가 계속 반복되니까 이런 두 가지 복합재난에 철저한 대비를 하시는 것만이 여름철 건강에 피해 없이 보낼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앵커]
비와 더위 모두 주의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공항진 YTN 재난 자문위원과 설명 들어봤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