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뜨거운 열돔의 기세가 막바지에 달하며 주말에도 서울 낮 기온이 36도를 웃돌았습니다.
열화상 카메라에 담긴 서울 도심은 곳곳이 붉은색으로 마치 '불바다'를 연상케 했는데, 이런 더위를 몰고 온 기압계도 오래가진 못할 전망입니다.
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뜨겁게 달아오는 서울 도심
높은 습도 대신 강한 햇살과 지면의 열기가 활동을 힘들게 합니다.
열화상 카메라로 들여다보니
달아오는 도심 속 아스팔트 온도는 무려 55도에 육박합니다. 뜨거운 불가마 수준입니다.
종일 열기가 쌓였을 건물 외벽 온도 색도 온통 붉은색으로 40도 이상 치솟았습니다.
이렇다 보니 폭염 경보 속에 서울은 36도 이상 기온이 올랐고, 광진구와 동대문구는 체온보다 높은 37도를 웃돌았습니다.
또 광명 철산동과 파주 광탄면도 38도 안팎까지 기온이 치솟았습니다.
두 개의 뜨거운 고기압이 한반도를 뒤덮은 가운데 산맥을 넘은 동풍이 수도권 등 서쪽에 영향을 준 겁니다.
하지만 이 같은 심한 폭염은 주말을 고비로 점차 누그러질 전망입니다.
기상청은 이불처럼 견고히 한반도 상하층을 채웠던 두 개의 뜨거운 고기압이 일요일부터 점차 우리나라 상공을 벗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열기를 가둔 열돔 현상이 서서히
사라지고 이후 낮 기온도 점차 하강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상청은 월요일 이후에도 더위는 이어지지만 경보에서 주의보 수준으로 한 단계 약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창재 / 기상청 예보분석관 : 고기압들이 우리나라 상공을 두텁게 덮고 있는 상태고요.다만 이것이 13일 정도 되면 이 기압계가 한번 무너지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수요일 이후에는 한반도 주변 기압계가 변화하며 중부 지방이 다시 장마권에 들겠고, 많은 수증기가 유입되는 곳에서는 강한 장맛비가 내릴 가능성이 커 사전 대비가 필요합니다.
YTN 정혜윤입니다.
촬영 : 김만진
영상편집 : 마영후
디자인 : 박유동, 전휘린
YTN 정혜윤 (jh030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뜨거운 열돔의 기세가 막바지에 달하며 주말에도 서울 낮 기온이 36도를 웃돌았습니다.
열화상 카메라에 담긴 서울 도심은 곳곳이 붉은색으로 마치 '불바다'를 연상케 했는데, 이런 더위를 몰고 온 기압계도 오래가진 못할 전망입니다.
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뜨겁게 달아오는 서울 도심
높은 습도 대신 강한 햇살과 지면의 열기가 활동을 힘들게 합니다.
열화상 카메라로 들여다보니
달아오는 도심 속 아스팔트 온도는 무려 55도에 육박합니다. 뜨거운 불가마 수준입니다.
종일 열기가 쌓였을 건물 외벽 온도 색도 온통 붉은색으로 40도 이상 치솟았습니다.
이렇다 보니 폭염 경보 속에 서울은 36도 이상 기온이 올랐고, 광진구와 동대문구는 체온보다 높은 37도를 웃돌았습니다.
또 광명 철산동과 파주 광탄면도 38도 안팎까지 기온이 치솟았습니다.
두 개의 뜨거운 고기압이 한반도를 뒤덮은 가운데 산맥을 넘은 동풍이 수도권 등 서쪽에 영향을 준 겁니다.
하지만 이 같은 심한 폭염은 주말을 고비로 점차 누그러질 전망입니다.
기상청은 이불처럼 견고히 한반도 상하층을 채웠던 두 개의 뜨거운 고기압이 일요일부터 점차 우리나라 상공을 벗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열기를 가둔 열돔 현상이 서서히
사라지고 이후 낮 기온도 점차 하강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상청은 월요일 이후에도 더위는 이어지지만 경보에서 주의보 수준으로 한 단계 약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창재 / 기상청 예보분석관 : 고기압들이 우리나라 상공을 두텁게 덮고 있는 상태고요.다만 이것이 13일 정도 되면 이 기압계가 한번 무너지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수요일 이후에는 한반도 주변 기압계가 변화하며 중부 지방이 다시 장마권에 들겠고, 많은 수증기가 유입되는 곳에서는 강한 장맛비가 내릴 가능성이 커 사전 대비가 필요합니다.
YTN 정혜윤입니다.
촬영 : 김만진
영상편집 : 마영후
디자인 : 박유동, 전휘린
YTN 정혜윤 (jh030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