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대신 벚꽃봉오리 축제?...올해 봄꽃 만개 시기는?

벚꽃 대신 벚꽃봉오리 축제?...올해 봄꽃 만개 시기는?

2024.03.25. 오전 09:3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꽃망울이 야속하기만 합니다. 꽃축제에 꽃은 없고꽃봉오리조차 열릴 기미가 없다는데요. 언제쯤 만개한 꽃축제를 즐길 수 있을지, 반기성 케이웨더 센터장과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사진으로도 알 수 있듯이 가지가 앙상한 것 같습니다. 봄꽃 축제에 꽃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반기성]
그렇죠. 일단 봄꽃이 피기 위해서는 일조량이 충분해야 되고요. 다음에는 기온이 높아야 됩니다. 그런데 올해 같은 경우는 일조량이 평년보다 적습니다. 예를 들어서 서울 같은 경우는 3월이죠, 1, 2월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벚꽃이 피려면 3월 기상이 가장 중요하거든요, 꽃이 피기 직전. 일조량 같은 경우 3월 23일까지 보면 평년이 한 404제곱미터당 메가줄 정도였는데, 일사량이죠. 올해 같은 경우 303 정도밖에 안 돼요. 그다음에 대전 같은 경우도 466인데 올해는 343이고요. 대구도 456인데 올해는 337. 제주도 404인데 올해는 296. 그러니까 전국적으로 보면 평년의 한 70~75% 정도밖에 일조량이 안 되고 있다는 것이죠.

그다음에 두 번째로 기온도 낮습니다. 2월까지는 기온이 상당히 높았는데 3월 들어서면서 부쩍 찬공기가 자주 내려오면서 기온이 평년보다 낮아요. 서울 같은 경우도 3월 23일까지 평균 기온이 평년이 6.5도여야 되는데 올해는 5.9도밖에 안 되고 있고요. 다음에 강릉 같은 경우도 7.1도인데 올해는 6.2도고요. 대전 같은 경우 6.9도가 돼야 되는데 올해는 6.3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전국적으로 다 평년보다 기온이 낮아요. 그러니까 실제로 벚꽃이 열리지 않고 현재 남쪽만 조금 꽃망울이 열리는 그런 정도의 수준인 것이죠.

[앵커]
그걸 저도 체감할 수 있었던 게 패딩을 계속 집어넣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까지만 입자, 이번 주까지만 입어야지 하다가 결국에는 3월 마지막 주까지 오게 됐습니다. 그런데 센터장님, 보통 봄꽃이 늦게 피는 원인으로 이상기온이 많이 꼽히잖아요. 이상기온 하면 지구가 뜨거워진다, 날씨가 점점 따뜻해져서 겨울이 없어진다. 이런 얘기가 많이 나왔었습니다. 그래서 기온이 올라가면 따뜻하니까 꽃도 더 빨리 펴야 되지 않나라는 생각을 일면 하기는 했었거든요.

[반기성]
당연하죠. 기온이 높이 올라가면 꽃은 빨리 피게 되어 있거든요. 우리나라 기후변화도 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계속 봄이 빨라지고 있고 거의 40년 전에 비해서 지금 18일 정도 봄이 빨라지고 있다는 얘기거든요. 봄이 빨라진다는 얘기는 기온이 상승하다는 얘기고, 상승한다면 꽃은 빨리 피게 돼 있습니다. 그러니까 추세선이 있어요. 저희들이 벚꽃 핀 날짜의 쭉 추세선을 보면 계속 빨라지고 있는 건 맞습니다. 맞는데, 이 벚꽃 같은 경우는 특히 장기적인 날씨가 아니고 단기적으로 그때 필 때 기온이나 일조량에 크게 영향을 받아요.

그러다 보니까 올해 같은 경우는 평년보다 일조량도 낮고 기온도 낮다 보니까 좀 늦어지는 것인데 그렇더라도 올해도 평년보다 빨리 필 것으로 예상한 겁니다. 작년에 워낙 개화가 빨랐거든요. 작년 같은 경우는 부산이 3월 19일, 대전이 3월 23일, 서울이 3월 25일에 벚꽃이 개화했습니다. 올해 그거보다 많이 늦어지고 있는데. 하여튼 이러한 것들이 앞으로도 기후변화 때문에 결국 벚꽃이 피는 시기는 빨라질 겁니다. 다만 문제는 그때그때 그해 3월의 기온이 어떻게 되느냐. 이게 바로 기후변화의 특징이기도 하거든요. 기후변화의 특징이 전반적으로 기온은 상승하고 있는데 이런 기후변화의 진통은 커진다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상승세에 있다고 하더라도 기온이 내려갈 때는 약간 늦어지는 해도 있을 수는 있다. 그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작년 상황 말씀하셔서 저도 작년에 일찍 벚꽃이 피었을 때 이제는 꽃축제를 3월에 즐겨야겠구나. 보통 서울 계신 분들은 3월 말에서 4월 생각하시잖아요. 그런데 올해 상황은 다르다는 점, 눈여겨볼 점인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꽃축제가 지자체에서는 대목이기도 하거든요. 꽃축제에 꽃이 안 피다 보니까 지자체마다 울상입니다. 전국에서 꽃축제를 계획했던 일정이 있는데 저희가 표를 준비했습니다. 함께 보시겠습니다. 벚꽃 색깔로 저희가 그래픽을 만들어봤는데 제주부터 보통 남쪽으로 해서 꽃이 올라오잖아요. 그런데 남쪽에도 꽃봉우리만 살짝 피어 있는 수준이라고 하고 경북 경주를 보시면 이게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돼 있는데 이게 일주일 정도 연기한 거라고 합니다. 그런데도 경주에는 아직 꽃이 활짝 만개할 기미는 보이지 않나 봐요?

[반기성]
그렇습니다. 어제 진해 쪽에 처음으로 벚꽃이 개화했습니다. 올해 예상했던 것보다 늦어진 건 맞습니다. 일단 케이웨더에서 올해 벚꽃 개화한 시기를 예측한 것은 제주가 3월 21일, 부산이라든가 남쪽이 3월 25일 전후, 그다음에 대전이 3월 30일, 그다음에 서울이 4월 2일 정도로 예측을 했습니다. 이 날짜들도 실제로 평년보다 4~6일이 빠른 날짜입니다. 작년에는 워낙 이례적인 고온현상을 보였기 때문에 엄청 빨라졌던 것이고요. 그렇게 예상했던 것도 평년보다 4~6일 빠릅니다. 서울 같은 경우는 평년이 4월 8일 정도 벚꽃 개화 시기거든요. 그런데 올해는 4월 2일로 예측을 했는데 현재는 평년보다 남쪽이 1~2일 정도 늦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지금 보면 벚꽃축제 군항제가 열리는 진해가 어제 처음으로 벚꽃이 피었는데 왜 그러냐면 이번 주말에 기온이 많이 올랐거든요.

[앵커]
서울에서 목련꽃 핀 것도 봤습니다.

[반기성]
서울이 23.4도까지 올랐거든요. 그러니까 기온이 확 오르면 벚꽃은 피어오릅니다. 그런데 문제는 당장 오늘, 내일 비 소식이 또 있고요. 목요일, 금요일에 또다시 비소식이 있고요. 그다음에 토요일날도 흐린 날씨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주간은 기온이 크게 높아 보이지는 않아요. 평년보다 약간 높기는 하더라도 한 2~3도 정도 높은데. 그런데 일요일부터 기온이 상당히 오를 것으로 봅니다, 그때부터는. 그래서 서울은 보면 벚꽃이 피는 개화 시기의 온도를 가지고 논문을 쓴 분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이영인 교수 논문을 보면 2월과 3월 기준온도를 5.5도로 보고, 5.5도보다 높은 날 있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평균이 6도라면 0.5도가 되겠죠. 이거를 매일 더해서 106도가 넘는 날, 그때가 벚꽃이 개화하더라, 이러한 논문이 있는데요. 이 논문을 가지고 계산을 해 보니까 2월, 3월 기온을. 한 4월 2~3일 정도면 서울이 106도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지나온 기온과 앞으로 예상되는 기온을 더해서 106도가 되는 날이 4월 2일에서 3일 정도. 그래서 서울도 거의 4월에 2, 3일 정도면 개화하지 않겠느냐, 이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꽃샘추위로 불리는 추위는 이번 주가 사실상 마지막이라고 보면 되는 건가요?

[반기성]
그렇다고 봐야죠. 말씀드린 것처럼 일요일부터 난기류가 들어오면서 그때부터는 굉장히 따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럴 때 꽃축제를 즐기는 것도 중요합니다만 산불도 조심해야 합니다. 올 봄에도 산불 소식이 많고 해마다큰 산불들이 많이 일어나고는 했습니다. 건조주의보가 발령될 정도로 연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데 봄이 되면 건조한 날씨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잖아요.

[반기성]
그렇습니다. 사계절 중에 가장 건조한 계절이 일단 봄철입니다. 봄철이 건조한 가장 큰 원인은 대륙성 기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봄철 초반부에는 주로 북서풍 영향을 많이 받다 보니까 굉장히 건조한 공기가 많이 영향을 주고요. 봄철 후반부로 가더라도 대개 우리나라 양자간 기단의 영향을 받는데 양자강 기단이 대륙기단입니다. 그러다 보니 서풍으로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습도가 높지 않아요. 그리고 여기다가 봄철이 되면 기온이 급상승을 하다 보니까 어떻게 보면 증발 같은 것이 많아지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실제로 날씨가 건조해지고 그래서 산불이 일어나면 굉장히 대형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거죠.

[앵커]
건조주의보라는 게 내려지는 특정 조건이 있습니까?

[반기성]
일단 건조주의보는 건조특보가 2개가 있습니다.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가 내려지는데 이게 실효습도를 가지고 얘기합니다. 실효습도는 오늘, 어제, 그전 날 상대습도를 가지고 기본을 내는데. 대개 목재가 얼마나 건조하냐. 화재가 나면 얼마나 날 가능성이 있느냐, 이걸 알려주는 수치라고 보시면 되는데. 실효습도가 35% 이하로 이틀 이상 지속되면 건조주의보가 발령되고요. 실효습도가 25% 이하로 이틀 이상 지속되면 건조경보가 발령됩니다. 실제로 실효습도가 50% 이하로 떨어지면 불이 붙기가 쉬워지고요. 그다음에 실효습도가 40% 이하로 떨어지면 불이 잘 꺼지지가 않아요. 대개 우리가 건조특보로 기상청에서는 실효습도를 가지고 산불위험지수를 만들어내는 게 바로 실효습도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죠.

[앵커]
강풍도 항상 해마다 문제가 됐던 것 같습니다. 큰 피해를 남긴 봄철의 대형산불들을 떠올려보면 강풍 때문에 진화하는 게 쉽지 않았거든요. 봄에 부는 강풍의 특징도 따로 있습니까?

[반기성]
역시 바람도 사계절 중에 봄이 가장 강합니다, 평균적으로. 이렇게 강한 바람이 부는 것은 일단 기본적으로 온도, 그러니까 저희들이 수평적인 온도풍 차이가 크다고 보는데. 낮에 이 온도가 많이 올라가고 밤에는 뚝 떨어지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봄철이 가장 일교차가 큽니다. 그러다 보니까 기압경도력에 의한 바람에다가 온도에 의한 바람이 더해지다 보니까, 봄철 바람이 상당히 강해져요.

봄철에 바람이 불면 양간지풍이 불 때를 제외하고는 낮에는 바람이 강하더라도 밤이 되면 바람이 약해지는 게 바로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그런 특성을 보이는 것이죠. 그런데 봄철에 가장 큰 문제가 대개 남고북저형이죠. 북쪽으로 저기압이 지나고 남쪽으로 고기압이 오면서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는 남서풍으로 아주 강한 기압경이 만들어질 때는 이때는 양간지풍이 만들어지면서 동해안 쪽으로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거든요. 이런 것들은 거의 4월부터 5월 초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앵커]
산림청이 내놓은 통계자료를 보니까 1년에 발생하는 전체 산불 중에서 절반이 봄철에 난다고 합니다. 자나깨나 불조심은 잊으시면 안 되겠어요. 올해 일어나는 산불도 계속해서 뉴스를 전해 드리고 있는데 산불 발생위치를 보니까 예년과는 조금 달랐습니다. 과거에 대형산불이 났던 지역들을 보면 동해안들이 많았었는데 올해는 동해안이 아니라 내륙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더라고요. 원인이 있습니까?

[반기성]
왜 그러냐는 올 겨울에 동해안 쪽, 산악 쪽에 눈이 많이 내렸습니다, 폭설이. 그러다 보니까 동해안 쪽은 폭설이 쌓여 있다 보니까 산불이 나기가 어렵고요. 그러다 보니까 오히려 평소에는 불이 잘 나지 않던 서쪽지역. 하루에 10건 정도 산불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쌓여 있는 눈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기온이 높이 올라가면 바로 녹습니다. 녹으면서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이번 주 말, 4월 초에 접어들면 거의 눈이 녹아내리면서 동해안 쪽도 상당히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도 일단 높아지고요. 그리고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우리나라의 대형산불은 거의 동해안 쪽이거든요. 보통 산불은 다른 쪽에서 많이 나지만 대형산불이 그쪽에서 나는 것들은 양간지풍 같은 것들이죠. 바람이 태백산맥을 넘어가면서 아주 압축돼버리는 거죠. 그러니까 이쪽에서는 바람이 초속 20m 불더라도 태백산맥을 넘어가서 동해안으로 내려갈 때는 35~40m 정도의 바람이 불거든요. 그러니까 거의 산불이 나면 끌 수가 없죠.

[앵커]
그래서 산불이 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산불의 대부분은 부주의 때문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통계를 보니까 담배, 입산자의 실화라고 하죠. 그런 불이나 아니면 쓰레기를 태우는 행위, 밭두렁을 태우는 행위. 특히나 쓰레기나 밭두렁 태우는 건 농촌, 산지에서 어르신들이 많이 하시는 행동이기도 하잖아요. 이런 것 때문에 산불이 확산되는 경우가 있는데 각별히 주의해야겠죠.

[반기성]
그렇습니다. 통계에서도 보시듯이 전부 다 사람들에 의한 실화들입니다. 담뱃불이든 입산자가 올라가서 담배를 피우든. 다 그런 것들이기 때문에 이게 굉장히 부주의한 것들 때문에 산불이 발생하는 것들이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산불기간에는 입산 시에 라이터라든가 이런 건 절대로 지참하면 안 됩니다, 정말로. 그다음에 야영이나 취사 같은 것도 꼭 허가된 지역에서만 해야 되고.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농민들이 대개 봄에 벌레를 잡는다고 불을 많이 내지 않습니까? 이건 절대로 하시면 안 되고. 쓰레기 같은 것도 태우시면 안 됩니다. 상당히 위험하거든요. 특히 산 옆에 있는 마을 같은 데서는 이런 생활쓰레기를 태우면 안 되죠. 예전에 동해안 쪽에 대형산불 났던 것도 쓰레기 태우는 것에서 옮겨 붙었던 적이 있었거든요.

[앵커]
그리고 바람 불기 시작하면 불씨가 정말 멀리 날아가더라고요.

[반기성]
그렇습니다. 거의 날아가는 속도가 풍속과 비교하니까 1초당 35m면 35m를 날아간다는 얘기거든요. 그러니까 대책이 없죠.

[앵커]
산불 조심해야 합니다. 끝으로 산불이 났을 때 일단 초기 진화가 중요하잖아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기성]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자신부터 산불이 나는지 봐야 되겠죠.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바람이 어느 쪽에서 부느냐를 판단해야 됩니다.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피할 수 있는 것이 좋고. 높은 곳보다는 낮은 곳으로 가시는 것이 좋고요. 그다음에 산불이 나면 가장 먼저 신고를 해야 되겠죠. 소방서 같은 경우는 지역번호에 119로 전화하시면 되고요. 경찰서는 지역번호에서 112, 그다음에 각 지역산림관서들이 있거든요. 이런 쪽으로 빨리 신고를 하셔서 속히 진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해 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앵커]
지금 그래픽이 나가고 있어요. 제가 다시 한 번 설명드리겠습니다. 산불이 났을 때는 지역번호에 119 소방서에 신고하시거나 지역번호에 112, 경찰서에 신고하시면 되고요. 지역산림관서 등으로 신속히 신고하시면 그나마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씨관리 무엇보다 신경 써주시고요. 아마 비가 그치고 나면 또다시 산불이 발생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반기성 센터장님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