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유네스코가 우리 정부에 공문을 보내 종묘 앞 고층 재개발에 따른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강력히 권고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공문을 근거로 서울시에 영향평가를 재차 촉구했고, 서울시는 일방적인 영향평가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가유산청이 다시 서울시에 종묘 일대의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강하게 압박했습니다.
지난주 종묘 일대의 세계유산지구 지정에 이어 이번엔 유네스코 공문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가 지난 15일 세계유산센터 명의의 공문을 통해 종묘 앞 고층 개발에 따른 역사 경관 훼손 가능성을 강하게 우려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강력권고하고 평가가 끝나기 전에는 사업 승인 중지를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 : 세계유산영향평가는 전 세계의 세계유산협약 당사국들이 유네스코 지침에 따라 준수, 이행하는 국제 수준의 보존 관리 제도로서, 세계유산 가치가 보호되는 선에서 공존 가능한 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어 영향평가 등 관련 사안 논의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함께 관계기관 조정회의를 구성하자고 서울시에 제안했습니다.
서울시는 즉각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종묘의 세계유산 등재 30년이 지나도록 완충 구역 설치 등 아무런 조치도 없다가 이제 와 영향평가를 강요하는 것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종묘 경관의 훼손이 없다는 점을 검증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 지난 5일 : 저희가 시뮬레이션을 해보니까요, 그늘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늘이 생긴다는 우려는 잘못된 시각이고요 / 종묘 앞에 폭 100m 정도의 녹지가 저쪽 남산까지 쭉 뻗어나가게 됩니다. 그것이 진정으로 종묘를 돋보이게 하고]
다만, 균형 잡힌 논의 구조를 전제로 관계기관의 회의체를 구성하자는 제안은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종묘 앞 고층 개발에 따른 회의체 구성 가능성은 커졌지만, 정치권까지 논란에 가세한 상황에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영상기자 : 진형욱
영상편집:김지연
YTN 박순표 (s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네스코가 우리 정부에 공문을 보내 종묘 앞 고층 재개발에 따른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강력히 권고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공문을 근거로 서울시에 영향평가를 재차 촉구했고, 서울시는 일방적인 영향평가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가유산청이 다시 서울시에 종묘 일대의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강하게 압박했습니다.
지난주 종묘 일대의 세계유산지구 지정에 이어 이번엔 유네스코 공문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가 지난 15일 세계유산센터 명의의 공문을 통해 종묘 앞 고층 개발에 따른 역사 경관 훼손 가능성을 강하게 우려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강력권고하고 평가가 끝나기 전에는 사업 승인 중지를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 : 세계유산영향평가는 전 세계의 세계유산협약 당사국들이 유네스코 지침에 따라 준수, 이행하는 국제 수준의 보존 관리 제도로서, 세계유산 가치가 보호되는 선에서 공존 가능한 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어 영향평가 등 관련 사안 논의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함께 관계기관 조정회의를 구성하자고 서울시에 제안했습니다.
서울시는 즉각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종묘의 세계유산 등재 30년이 지나도록 완충 구역 설치 등 아무런 조치도 없다가 이제 와 영향평가를 강요하는 것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종묘 경관의 훼손이 없다는 점을 검증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 지난 5일 : 저희가 시뮬레이션을 해보니까요, 그늘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늘이 생긴다는 우려는 잘못된 시각이고요 / 종묘 앞에 폭 100m 정도의 녹지가 저쪽 남산까지 쭉 뻗어나가게 됩니다. 그것이 진정으로 종묘를 돋보이게 하고]
다만, 균형 잡힌 논의 구조를 전제로 관계기관의 회의체를 구성하자는 제안은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종묘 앞 고층 개발에 따른 회의체 구성 가능성은 커졌지만, 정치권까지 논란에 가세한 상황에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영상기자 : 진형욱
영상편집:김지연
YTN 박순표 (s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