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K팝 탄소 헌터스!"...팬들의 '기후 대응' 제안

"이젠 K팝 탄소 헌터스!"...팬들의 '기후 대응' 제안

2025.11.08. 오전 03:1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올해 콜드플레이 내한 콘서트, 친환경 공연 화제
팔찌 회수·일회용 생수병 금지…공연 탄소 절감
K팝 팬들도 동참…’케이팝 탄소 헌터스’ 캠페인
온라인 단체 "K팝 공연 탄소 배출 공개·감축해야"
AD
[앵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돌풍에 이어 최근 APEC까지, K팝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큽니다.

문화적 위상과 함께 영향력도 커진 만큼, K팝도 '저탄소 공연' 등으로 적극적인 기후 대응에 나서자는 제안이 팬들 차원에서 나왔습니다.

송재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콜드플레이의 고양 콘서트가 화제가 된 건 8년 만의 내한이라는 이유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친환경 재질의 팔찌를 나눠주고 회수하는가 하면, 페트병 대신 텀블러를 쓰게 하면서 공연의 탄소 배출량을 줄였습니다.

가수 빌리 아일리시도 태양광 패널로 공연용 전력을 자체 생산하는 등, 세계 팝 시장에선 이미 '지속 가능성'이 공통 의제로 부상했습니다.

국경을 넘은 이동부터 조명과 음향, 전광판 등에 드는 전력, 또 폐기물까지.

연간 야외 공연에서 나오는 탄소의 규모가 가솔린 자동차 9만여 대와 맞먹기 때문입니다.

이에 K팝 업계에선 팬들이 직접 나섰습니다.

기후 대응을 위해 전 세계에서 모인 온라인 팬 단체가, 모든 K팝 공연의 탄소 배출량 공개와 실질적인 감축을 공개적으로 제안한 겁니다.

[김나연 / '케이팝 포 플래닛' 캠페이너 : (이젠)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케이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사회적 책임과 위상이 계속해서 높아지는 만큼 기후위기 대응에도 K팝이 더 나서서 해야 할 책임이….]

이들이 각 기획사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공연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해 공개한 건 국제 무대에서 관련 활동을 해온 블랙핑크가 소속된 YG뿐.

[제니 / '블랙핑크' 멤버 (2021년) :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아서 우리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나머지 3사의 경우 저마다 주목할 부분은 있지만, 공연에서의 탄소 관리 활동은 미흡하거나 그 결과가 공개되지 않았다고 단체는 밝혔습니다.

공연 인프라 자체가 부족한 K팝 업계가 저탄소 콘서트까지 노력하기엔 역부족이란 시선도 있지만, 단체는 되레 팬덤이 핵심인 K팝이기에, 더욱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거라 강조합니다.

[김나연 / '케이팝 포 플래닛' 캠페이너 : 9만 명의 팬분들이 저희와 함께하면서 지속 가능한 케이팝, 저탄소 케이팝을 원하고 계세요. (팬덤의) '충성도'가 케이팝의 큰 특징이기도 하기 때문에, 아티스트가 기후위기 메시지를 전달한다면 그 영향력이 매우 크고….]

YTN 송재인입니다.


영상기자 : 이수연
디자인 : 윤다솔
화면제공 : 라이브네이션 코리아, REVERB


YTN 송재인 (songji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