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조선시대에 '동궐'로 불렸던 창덕궁과 창경궁을 색다르게 즐길 수 있는 야간 관람 행사가 열립니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은 이달 11∼16일에 창덕궁과 창경궁에서 야간 관람 프로그램 '동궐동락'을 처음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맡았던 도화서 화원과 함께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을 지나 옥천교, 명정전, 환경전, 통명전, 풍기대 등을 둘러봅니다.
명정전에서는 두 궁궐의 모습을 담은 '동궐도' 제작을 명하는 장면을 연출한 극이 펼쳐지며, 대춘당지에서는 달밤의 군사 훈련 소동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평소 개방하지 않는 영춘문도 특별히 열립니다.
관람객들은 창경궁에서는 소춘당지부터 대온실 권역을, 창덕궁에서는 부용지부터 애련지 권역을 둘러보고 국악 공연과 전통 다과를 즐길 수 있습니다.
'동궐동락'은 오후 6시와 6시 20분, 6시 40분, 7시 등 하루 4차례 진행되고 유료 관람입니다.
YTN 김선희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은 이달 11∼16일에 창덕궁과 창경궁에서 야간 관람 프로그램 '동궐동락'을 처음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맡았던 도화서 화원과 함께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을 지나 옥천교, 명정전, 환경전, 통명전, 풍기대 등을 둘러봅니다.
명정전에서는 두 궁궐의 모습을 담은 '동궐도' 제작을 명하는 장면을 연출한 극이 펼쳐지며, 대춘당지에서는 달밤의 군사 훈련 소동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평소 개방하지 않는 영춘문도 특별히 열립니다.
관람객들은 창경궁에서는 소춘당지부터 대온실 권역을, 창덕궁에서는 부용지부터 애련지 권역을 둘러보고 국악 공연과 전통 다과를 즐길 수 있습니다.
'동궐동락'은 오후 6시와 6시 20분, 6시 40분, 7시 등 하루 4차례 진행되고 유료 관람입니다.
YTN 김선희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