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바람이 우리 전통공예까지 불었습니다.
일명 '케데헌 굿즈' 품절 대란에 이어 까치 호랑이를 소재로 한 고미술 전시까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실용성을 무기로 한 전통공예품이 MZ 세대 취향을 파고들면서 세대 통합의 매개체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김정아 기자입니다.
[기자]
귀를 쫑긋 세우고 까치 이야기를 전해 듣는 호랑이!
노란 호피와 검은 먹선의 강렬한 대비, 유쾌한 표정이 관람객들의 웃음을 불러옵니다.
일명 피카소 호랑이로 불리는 이 그림은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의 모티브가 됐습니다.
호랑이와 까치를 함께 그린 우리나라 호작도는 임진왜란 전후가 시작점입니다.
호작도의 원류로 평가받는 작품부터
정통 회화의 품격을 보여주는 김홍도의 호작도,
민중 문화 속 해학과 풍자로 자리 잡은 19세기 민화까지
우리 민족의 사랑을 받아온 까치와 호랑이는 그림 속에서 여러 의미로 확장됐지만 복을 기원하는 마음만큼은 한결 같았습니다.
[조지윤/리움미술관 소장품 연구실장 : 호랑이의 군자를 상징하고 액을 막아주는 길상적 의미, 그리고 까치가 가지고 있는 좋은 소식을 가지고 오는 길조의 의미, 이 2가지 요소들이 합쳐진 까치 호랑이는 아마 그 당시 사람들에게 꿈과 희망, 그리고 세상을 살아가는 길한 의미를 보여주는….]
민화 속 까치 호랑이가 전통 공예품으로 부활했습니다.
전통 유물을 기반으로 자개 공예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이 업체엔 '케데헌' 열풍을 탄 해외 주문이 늘었습니다.
[최년희/ 'ㅎ' 굿즈 제작업체 대표 : 최근에 독일 고객분이 호랑이 자개 노리개를 프러포즈 선물로 구매해 가셨는데요. 프러포즈도 성공하고 아이도 가지게 되셨다고, '복을 전해주는 한국호랑이 최고다'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희소가치를 중시하는 젊은 층 취향까지 맞아떨어지면서 주문이 더 몰리는 상황!
허리춤에, 가방에, 자동차에 나만의 멋으로 달아보면 세상 힙한 수호신으로 변신합니다.
품절 대란을 일으킨 국립중앙박물관 '뮷즈' 공급 업체 역시 몰려드는 주문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스티커부터 무선충전기까지, 영롱한 빛을 머금은 자개 공예품은 실용성을 무기로 구매층을 넓히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MZ세대 관심에 할머니 집 장롱 문양으로 인식되던 자개는 세대 간 거리를 좁히는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조상명 / '뮷즈' 제작 업체 대표 :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힙한 것이다'라는 흐름을 타고 많이 관심을 가져주는 것 같고요. 세대가 한국의 문화를 통해서 통합이 되고 있는 것 같아서 굉장히 반갑고….]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체험 수업도 덩달아 인기입니다.
한땀 한땀 자개를 자르고 붙여 나만의 공예품을 만드는 체험 수업에 세대·국적 불문, 발길이 이어집니다.
[홍현아/ 'ㅎ' 자개 공방 대표 : 간단하게 만들어서, 나만의 스토리로 만들 수 있는 소품들이다 보니까 작게 만들어서 가지고 다닐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되게 만족감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
[켈리(타투이스트)/외국인 수강생 : 너무 예뻐요. 자개를 보면 보석이나 다이아몬드처럼 반짝이지만 너무 밝거나 번쩍거리지는 않아요. 정말 흥미로운 모양새입니다.]
케이팝 훈풍에 힘입어 모처럼 찾아온 우리 전통 공예에 대한 관심!
하지만 과제도 있습니다.
[조상명/'뮷즈' 제작 업체 대표 : 전통 장인들도 활로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계시는데, 저희보다도 더 정보가 없으시기 때문에 이런 걸 활발하게 하기가 어려우신 경우가 많아서, 관이나 기관이 주도해서 그런 일을 계속해서 해주시는 것도….]
일회성 바람이 아닌 지속적 열풍으로 이어가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함께 고민할 시점입니다.
YTN 김정아입니다.
촬영협조:희뮤즈, 쉘랑코리아, 휘호
YTN 김정아 (ja-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바람이 우리 전통공예까지 불었습니다.
일명 '케데헌 굿즈' 품절 대란에 이어 까치 호랑이를 소재로 한 고미술 전시까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실용성을 무기로 한 전통공예품이 MZ 세대 취향을 파고들면서 세대 통합의 매개체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김정아 기자입니다.
[기자]
귀를 쫑긋 세우고 까치 이야기를 전해 듣는 호랑이!
노란 호피와 검은 먹선의 강렬한 대비, 유쾌한 표정이 관람객들의 웃음을 불러옵니다.
일명 피카소 호랑이로 불리는 이 그림은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의 모티브가 됐습니다.
호랑이와 까치를 함께 그린 우리나라 호작도는 임진왜란 전후가 시작점입니다.
호작도의 원류로 평가받는 작품부터
정통 회화의 품격을 보여주는 김홍도의 호작도,
민중 문화 속 해학과 풍자로 자리 잡은 19세기 민화까지
우리 민족의 사랑을 받아온 까치와 호랑이는 그림 속에서 여러 의미로 확장됐지만 복을 기원하는 마음만큼은 한결 같았습니다.
[조지윤/리움미술관 소장품 연구실장 : 호랑이의 군자를 상징하고 액을 막아주는 길상적 의미, 그리고 까치가 가지고 있는 좋은 소식을 가지고 오는 길조의 의미, 이 2가지 요소들이 합쳐진 까치 호랑이는 아마 그 당시 사람들에게 꿈과 희망, 그리고 세상을 살아가는 길한 의미를 보여주는….]
민화 속 까치 호랑이가 전통 공예품으로 부활했습니다.
전통 유물을 기반으로 자개 공예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이 업체엔 '케데헌' 열풍을 탄 해외 주문이 늘었습니다.
[최년희/ 'ㅎ' 굿즈 제작업체 대표 : 최근에 독일 고객분이 호랑이 자개 노리개를 프러포즈 선물로 구매해 가셨는데요. 프러포즈도 성공하고 아이도 가지게 되셨다고, '복을 전해주는 한국호랑이 최고다'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희소가치를 중시하는 젊은 층 취향까지 맞아떨어지면서 주문이 더 몰리는 상황!
허리춤에, 가방에, 자동차에 나만의 멋으로 달아보면 세상 힙한 수호신으로 변신합니다.
품절 대란을 일으킨 국립중앙박물관 '뮷즈' 공급 업체 역시 몰려드는 주문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스티커부터 무선충전기까지, 영롱한 빛을 머금은 자개 공예품은 실용성을 무기로 구매층을 넓히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MZ세대 관심에 할머니 집 장롱 문양으로 인식되던 자개는 세대 간 거리를 좁히는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조상명 / '뮷즈' 제작 업체 대표 :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힙한 것이다'라는 흐름을 타고 많이 관심을 가져주는 것 같고요. 세대가 한국의 문화를 통해서 통합이 되고 있는 것 같아서 굉장히 반갑고….]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체험 수업도 덩달아 인기입니다.
한땀 한땀 자개를 자르고 붙여 나만의 공예품을 만드는 체험 수업에 세대·국적 불문, 발길이 이어집니다.
[홍현아/ 'ㅎ' 자개 공방 대표 : 간단하게 만들어서, 나만의 스토리로 만들 수 있는 소품들이다 보니까 작게 만들어서 가지고 다닐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되게 만족감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
[켈리(타투이스트)/외국인 수강생 : 너무 예뻐요. 자개를 보면 보석이나 다이아몬드처럼 반짝이지만 너무 밝거나 번쩍거리지는 않아요. 정말 흥미로운 모양새입니다.]
케이팝 훈풍에 힘입어 모처럼 찾아온 우리 전통 공예에 대한 관심!
하지만 과제도 있습니다.
[조상명/'뮷즈' 제작 업체 대표 : 전통 장인들도 활로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계시는데, 저희보다도 더 정보가 없으시기 때문에 이런 걸 활발하게 하기가 어려우신 경우가 많아서, 관이나 기관이 주도해서 그런 일을 계속해서 해주시는 것도….]
일회성 바람이 아닌 지속적 열풍으로 이어가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함께 고민할 시점입니다.
YTN 김정아입니다.
촬영협조:희뮤즈, 쉘랑코리아, 휘호
YTN 김정아 (ja-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