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요즘 가장 많이 듣는 단어를 꼽으라면 단연 인공지능, AI를 빼놓을 수 없죠.
AI가 사회 각 분야로 확산하면서 산업과 서비스 등 공공 부문은 물론 개인의 삶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내년도 트렌드 예측에서도 AI가 핵심 키워드로 꼽혔습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화형 챗 GPT 프로그램으로 개인 운세를 물어봤습니다,
[최휘 / 챗GPT 이용자 : 올해 재물 운은 어떨까?]
[챗GPT 답변 : 2025년의 재물 운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굳이 포털 검색을 하지 않아도 필요할 때 대화만으로도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최휘 / 챗GPT 이용자 : 일단 정확성을 떠나서 제가 물어보고 싶은 것을 제약 없이 물어볼 수 있고 어딘가 직접 가서 대면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앞으로 종종 이용할 것 같습니다.]
알고리즘을 타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까지 늘어나면서 클릭 없이도 소비가 이뤄지는 [제로 클릭]이 AI 시대 핵심 키워드로 꼽혔습니다.
AI를 이용해 철저하게 미래를 준비하거나 물건의 가격 구조를 파헤치는 소비 행태, AI 중심의 조직 전환, 순간에 집중하는 소비도 주요 변화로 예상됐습니다.
[김난도 / 서울대 명예교수 : AI가 중요하니까 AI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많이 개발하자, 이런 취지로 키워드를 만든 게 아니고, 10년간 해오던 프로세스대로 키워드를 만들었는데 결과를 펼쳐놓고 보니까 AI가 정말 이토록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구나.]
AI 확산과는 정반대로 인간적인 모습에 집중하는 소비 행태도 그만큼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 감정에 호소하는 마케팅 전략이나 1인 가구의 고독을 극복하려는 움직임, 건강이나 인간 본연에 대한 관심 등이 대표적입니다.
[김난도 / 서울대 명예교수 : 흥미로운 것은 (AI의) 대척점에 굉장히 인간적이고 근본적이고 본능적인 것을 강조하는 키워드가 여전히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AI 대전환]이라는 시대 흐름 앞에 인간이 인공지능과 대립하거나 공존하면서 만들어내는 여러 변화가 우리 사회의 큰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영상기자 : 이동규
디자인:김진호
YTN 박순표 (s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요즘 가장 많이 듣는 단어를 꼽으라면 단연 인공지능, AI를 빼놓을 수 없죠.
AI가 사회 각 분야로 확산하면서 산업과 서비스 등 공공 부문은 물론 개인의 삶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내년도 트렌드 예측에서도 AI가 핵심 키워드로 꼽혔습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화형 챗 GPT 프로그램으로 개인 운세를 물어봤습니다,
[최휘 / 챗GPT 이용자 : 올해 재물 운은 어떨까?]
[챗GPT 답변 : 2025년의 재물 운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굳이 포털 검색을 하지 않아도 필요할 때 대화만으로도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최휘 / 챗GPT 이용자 : 일단 정확성을 떠나서 제가 물어보고 싶은 것을 제약 없이 물어볼 수 있고 어딘가 직접 가서 대면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앞으로 종종 이용할 것 같습니다.]
알고리즘을 타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까지 늘어나면서 클릭 없이도 소비가 이뤄지는 [제로 클릭]이 AI 시대 핵심 키워드로 꼽혔습니다.
AI를 이용해 철저하게 미래를 준비하거나 물건의 가격 구조를 파헤치는 소비 행태, AI 중심의 조직 전환, 순간에 집중하는 소비도 주요 변화로 예상됐습니다.
[김난도 / 서울대 명예교수 : AI가 중요하니까 AI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많이 개발하자, 이런 취지로 키워드를 만든 게 아니고, 10년간 해오던 프로세스대로 키워드를 만들었는데 결과를 펼쳐놓고 보니까 AI가 정말 이토록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구나.]
AI 확산과는 정반대로 인간적인 모습에 집중하는 소비 행태도 그만큼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 감정에 호소하는 마케팅 전략이나 1인 가구의 고독을 극복하려는 움직임, 건강이나 인간 본연에 대한 관심 등이 대표적입니다.
[김난도 / 서울대 명예교수 : 흥미로운 것은 (AI의) 대척점에 굉장히 인간적이고 근본적이고 본능적인 것을 강조하는 키워드가 여전히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AI 대전환]이라는 시대 흐름 앞에 인간이 인공지능과 대립하거나 공존하면서 만들어내는 여러 변화가 우리 사회의 큰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영상기자 : 이동규
디자인:김진호
YTN 박순표 (s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