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일본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며 최빈국으로 떨어졌던 대한민국은 광복 80년을 맞은 지금, 문화 강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세계 문화계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그간의 여정을, 김승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우리 문화를 가슴에만 품어야 했던 치욕스러운 35년.
동포끼리 총부리를 겨눈 비극이 이어지며 폐허가 된 대한민국.
이 문화 변방국이 처음 세계인 눈에 든 건 해방 한참 뒤인 1986년이었습니다.
배우 강수연이 임권택 감독 '씨받이'로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은 겁니다.
[강수연 / 영화배우 (2015년) : '씨받이'라는 작품을 선택할 때 (임권택) 감독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전적으로 그 영화를 선택했고요.]
1990년대 후반엔 멜로 드라마가 해외에서 신드롬까지 일으키며, '한류'란 단어가 익숙해지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인기 가수들이 아시아에 진출하며 'K팝'이란 단어가 자리 잡았고,
마침내 싸이 '강남스타일'이 초대박을 터뜨리며 K팝을 세계 주류 무대에 올려놨습니다.
[싸이 / 가수(2012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 강연) : 제가 옥스퍼드 대학에 있다니…. 아름답네요. '강남스타일'로 저는 꿈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 1위를 차지하며 희망의 아이콘이 된 BTS.
[RM / BTS 리더 (2018년 UN 연설) : 여러분이 누구든, 어느 나라 출신이든, 피부색이 어떻든, 성 정체성이 어떻든, 여러분 자신에 대해 이야기해주세요.]
봉준호 감독은 특유의 작품 세계로 서구 주류 시상식을 휩쓸었고,
[봉준호 / 영화 '기생충' 감독(2020년 아카데미상 수상 직후) : (외국어 영화가 아카데미상) 작품상을 받은 게 최초라고 하죠? 왜 그랬을까요?]
황동혁 감독 역시 '오징어 게임'으로 대한민국의 문화사를 새로 써냈습니다.
[황동혁 /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감독(2022년 에미상 수상 직후) : 의도치 않게 국가대표처럼 저희가 드라마를 대표하는 사람처럼 되어버렸는데요.]
최근엔 케이팝을 소재로 한 미국 애니메이션이 대성공을 거두며, 우리 문화가 어디까지 진화할 수 있는지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YTN 김승환입니다.
영상편집 마영후
영상출처 넷플릭스
YTN 김승환 (k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일본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며 최빈국으로 떨어졌던 대한민국은 광복 80년을 맞은 지금, 문화 강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세계 문화계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그간의 여정을, 김승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우리 문화를 가슴에만 품어야 했던 치욕스러운 35년.
동포끼리 총부리를 겨눈 비극이 이어지며 폐허가 된 대한민국.
이 문화 변방국이 처음 세계인 눈에 든 건 해방 한참 뒤인 1986년이었습니다.
배우 강수연이 임권택 감독 '씨받이'로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은 겁니다.
[강수연 / 영화배우 (2015년) : '씨받이'라는 작품을 선택할 때 (임권택) 감독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전적으로 그 영화를 선택했고요.]
1990년대 후반엔 멜로 드라마가 해외에서 신드롬까지 일으키며, '한류'란 단어가 익숙해지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인기 가수들이 아시아에 진출하며 'K팝'이란 단어가 자리 잡았고,
마침내 싸이 '강남스타일'이 초대박을 터뜨리며 K팝을 세계 주류 무대에 올려놨습니다.
[싸이 / 가수(2012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 강연) : 제가 옥스퍼드 대학에 있다니…. 아름답네요. '강남스타일'로 저는 꿈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 1위를 차지하며 희망의 아이콘이 된 BTS.
[RM / BTS 리더 (2018년 UN 연설) : 여러분이 누구든, 어느 나라 출신이든, 피부색이 어떻든, 성 정체성이 어떻든, 여러분 자신에 대해 이야기해주세요.]
봉준호 감독은 특유의 작품 세계로 서구 주류 시상식을 휩쓸었고,
[봉준호 / 영화 '기생충' 감독(2020년 아카데미상 수상 직후) : (외국어 영화가 아카데미상) 작품상을 받은 게 최초라고 하죠? 왜 그랬을까요?]
황동혁 감독 역시 '오징어 게임'으로 대한민국의 문화사를 새로 써냈습니다.
[황동혁 /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감독(2022년 에미상 수상 직후) : 의도치 않게 국가대표처럼 저희가 드라마를 대표하는 사람처럼 되어버렸는데요.]
최근엔 케이팝을 소재로 한 미국 애니메이션이 대성공을 거두며, 우리 문화가 어디까지 진화할 수 있는지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YTN 김승환입니다.
영상편집 마영후
영상출처 넷플릭스
YTN 김승환 (k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