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손기정' 발자취 따라...광복 80주년의 울림

'코리안 손기정' 발자취 따라...광복 80주년의 울림

2025.08.15. 오전 02:1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일제 강점기, 마라톤으로 세계를 재패한 손기정 선수와, 그의 발자취를 따라간 제자들의 이야기가 전시장에 펼쳐집니다.

올림픽 직후 손기정 이름으로 서명한 엽서에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려는 손기정의 의지가 엿보입니다.

김정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1936년!

조국을 가슴에 품고 달린 한국의 마라토너가

베를린의 지독한 더위를 뚫고,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겁니다.

당시 영광을 품은 금메달과 월계관, 그리고 부상으로 받은 청동 투구가 전시장에서 함께 위용을 드러냅니다.

손기정은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박물관으로부터 50년 만에 돌려받은 청동투구를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습니다.

기쁨의 순간에도 시상대에서 고개를 떨궈야 했던 국민 영웅!

꽃다발로 일장기를 가려보지만

[유홍준/국립중앙박물관장 : 정면에서 찍은 사진에는 일장기가 안 나옵니다. 그런데 일본 사람들은 일장기가 있는 것을 보여주고 사진을 찍어서 신문에 내니까 우리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가 그걸 지우고 내서 결국 페간을….]

며칠 뒤 작은 엽서에 'Korean(코리안) 손긔졍'이라는 서명을 남겼는데,

이 귀한 자료의 실물이 이번에 처음 공개됐습니다.

[권혜은/학예연구사 : 그 실물이 남아있는 것이 바로 1936년 8월 15일에 쓰신 서명이 적힌 엽서인데요. 특히 공교롭게도 날짜가 광복절인 8월 15일이라는 점에서 더 뜻깊은 엽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손기정은 이렇게 자신이 일본인이 아니라 한국인임을 알렸고

당시 뉴욕 타임스엔 한국 출신 청년의 우승 소식이 실렸습니다.

"120파운드의 한국 출신 청년은 26마일의 고된 여정을 지나 마침내 결승선에 다다랐다.그 앞에는 올림픽의 왕관 중의 왕관을 향한 붉은 흙길만이 남아있었다.

1945년 광복이 되고,

지도자의 길로 접어든 손기정은 또 한번 쾌거를 이룹니다.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 제자 서윤복이 당당히 태극마크를 가슴을 달고 시상대에 선 겁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는 성화봉송 주자로 깜짝 등장했는데,

태극마크를 달고 달리기까지 52년!

백발의 손기정은 76세 나이에도 경기장을 펄쩍 펄쩍 뛰어다닙니다.

마라톤 영웅 손기정부터 그의 발자취를 따라 세계를 누빈 제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서울에서 성화를 들고 달린 감동의 순간까지,

손기정 인생 여정을 따라간 이번 전시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큰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YTN 김정아입니다.


영상기자;이현오
디자인;신소정



YTN 김정아 (ja-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