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뒤 엔비디아 실적 발표...뉴욕 증시 동반 상승

잠시 뒤 엔비디아 실적 발표...뉴욕 증시 동반 상승

2025.11.20. 오전 06: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뉴욕 증시, 보합권에서 출렁이다 동반 상승 마감
엔비디아, 증시 마감 직후 3분기 실적 발표
엔비디아 실적 자체는 시장 예상 웃돌 가능성 커
시간 경과에 따른 AI 장비 가치 감소 수준이 관심사
AD
[앵커]
인공지능, AI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3분기 실적 발표를 기다리며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동반 상승 마감했습니다.

엔디비아의 실적 발표와 실적 전망은 AI 거품론과 AI 장비 가치의 감가상각 논란과 직결되는 만큼 AI 열풍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뉴욕을 연결합니다. 이승윤 특파원!

뉴욕 증시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투자자들의 기대와 우려를 반영해 보합권에서 출렁이다가 동반 상승 마감했습니다.

지금은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S&P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잠시 뒤 AI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3분기 실적을 발표합니다.

최근 AI 거품론과 AI 칩 감가상각 논란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아슬아슬한 시기에 성적표를 공개하는 것입니다.

최근 몇 달간 쏟아진 대규모 제휴와 신규 계약만 고려해도 실적 자체는 이번에도 시장의 예상을 웃돌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하지만 AI 열풍이 시작되고 매 분기 엔비디아 실적 발표 때마다 그랬듯 이번에도 예상치를 웃도는 게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웃도느냐가 문제입니다.

다만 이번엔 3분기 실적과 4분기, 내년 실적 전망보다 그래픽 처리 장치, GPU의 감가상각 방식이 더 화두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AI 칩의 실제 가용 연한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만큼 분석가들은 콘퍼런스콜에서 감가상각에 대한 엔비디아의 입장을 추궁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AI 칩 감가상각은 고가의 AI 장비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회계상 비용으로 나눠져 인식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AI용 GPU를 사면, 그 장비 가격을 한 번에 비용 처리하지 않고 장비가 쓰이는 예상 기간인 '내용 연수' 동안 나눠서 비용으로 잡습니다.

그런데 AI 칩의 실제 수명이 예상보다 짧거나 길면, 관련 기업들의 비용 구조와 이익, 나아가 주가와 대출 금리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규모의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하는 하이퍼 스케일러들은 엔비디아 AI 칩의 내용 연수를 5~6년으로 잡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의구심이 상당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컴퓨팅 장비의 내용 연수를 2~6년으로 제시했는데 실제 2~3년에 불과하다면 AI 인프라 구축에 투입되는 비용은 모두 뒤집혀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나아가 AI 산업이 지금 형태로 유지될 수 있느냐는 문제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

경제 전문가의 얘기를 직접 들어보시죠.

[케빈 만 / 헤니온 앤 월시 자산 운용 최고 투자 책임자 : 많은 사람들이 AI 인프라 지출이 얼마나 더 지속될지, 관련 기업들의 과도한 가치평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앵커]
10월 연방 공개 시장위원회, FOMC 회의록도 뉴욕 증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로 인한 고용 위축과 물가 상승에 따른 적정 금리 수준을 놓고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내분이 극심해지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졌습니다.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던 10월 회의 당시에도 연준 관계자들은 노동 시장과 인플레이션을 놓고 큰 의견 차이를 보였습니다.

연준이 공개한 10월 FOMC 회의록에서 다수의 FOMC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꽤 오랫동안 목표치를 상회해 왔으며, 목표치로 복귀할 조짐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부분은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봤습니다.

다만 일부는 인플레이션이, 다른 위원들은 실업률이 치솟을 것이라 봤지만, 12월 회의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는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회의록에서 많은 참석자들은 지난 회의 당시 금리 인하를 지지했지만, 일부는 동결을 지지할 수 있었다는 입장이었고, 몇몇은 인하 자체를 반대했습니다.

블룸버그 TV는 "회의록은 연준조차 경제가 어떻게 될지 모르고 있고, 상당히 의견이 분열됐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영상편집 : 정치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