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유사시 타이완 개입' 발언 이후 일본을 연일 강경 비판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 자제까지 권고했습니다.
주일 중국 대사관은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가까운 시일에 일본을 방문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는 걸 알려드린다"라면서 "이미 일본에 있는 중국인의 경우에도 현지 치안 상황을 주시하고 안전 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일본 지도자가 타이완 관련 노골적인 도발 발언을 해 중일 간 인적 교류 분위기를 심각하게 악화시켰다"며 "일본에 있는 중국인의 안전에 중대한 위험이 초래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달 집권한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중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타이완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이른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중일 갈등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중국 외교 당국이 극언에 가까운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다카이치 총리는 해당 발언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주일 중국 대사관은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가까운 시일에 일본을 방문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는 걸 알려드린다"라면서 "이미 일본에 있는 중국인의 경우에도 현지 치안 상황을 주시하고 안전 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일본 지도자가 타이완 관련 노골적인 도발 발언을 해 중일 간 인적 교류 분위기를 심각하게 악화시켰다"며 "일본에 있는 중국인의 안전에 중대한 위험이 초래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달 집권한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중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타이완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이른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중일 갈등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중국 외교 당국이 극언에 가까운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다카이치 총리는 해당 발언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