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의 그림자...미 금리 '미궁 속으로'

셧다운의 그림자...미 금리 '미궁 속으로'

2025.11.11. 오후 7:1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경제 통계 멈춰
임시해고 공무원 통계 반영되면 실업률 왜곡 가능성
연준, 민간 통계로 보완하고 있지만 신뢰도 떨어져
연준, ’데이터 중심’에서 ’위험 관리’로 기조 전환
AD
[앵커]
미국의 최장기 정부 셧다운이 이번 주 마무리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그 여파는 여전히 경제 전반에 남아 있습니다.

핵심 경제 지표들이 제때 발표되지 못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결정이 한층 어려워졌습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멈춘 경제 통계는 연준의 정책 판단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고용과 물가 지표의 신뢰도는 크게 떨어졌습니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임시 해고된 공무원 65만 명이 실업자 통계에 반영될 경우 실업률이 최대 0.4%p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롬 파월 /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사이의 긴장을 헤쳐나가는 과정에서 정책에 위험이 없는 길은 없습니다.]

연준이 의존하던 주요 경제 데이터는 대부분 중단됐습니다.

민간 통계로 일부 보완하고 있지만 판단 근거는 불완전합니다.

[마크 햄릭 / 뱅크레이트 수석 분석가 : 연방정부가 정상 운영되며 데이터를 공개했다면 훨씬 더 명확한 이해와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데이터 공백 속에 연준은 과거의 '데이터 중심' 접근 대신 '위험 관리'라는 새로운 기조로 전환했습니다.

불확실한 통계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신중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저스틴 울퍼스 / 미시간대 경제학과 교수 : 현재 연준이 취하고 있는 조치는 사실상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고 중립 상태로 돌아가는 것에 불과합니다. 다음 단계가 무엇인지 파악할 때까지 잠시 관성 주행을 할 것입니다.]

셧다운은 데이터 공백과 불확실한 전망이라는 큰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 연준 내부는 금리 인하를 놓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면서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책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가 흔들리면서 12월 금리의 향방도 미궁 속에 빠졌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