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친미 중도 우파 성향의 로드리고 파스 볼리비아 대통령이 취임식을 갖고 5년 임기를 시작했습니다.
파스 대통령은 볼리비아 수도 라파스에 있는 연방 의회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국민 통합을 상징하는 어깨띠를 받은 뒤 취임 일성으로 부패 척결과 경제난 타파를 강조했습니다.
파스 대통령은 "우리가 받은 것은 왕좌가 아니라 임무"라면서 "나라가 파산 상태이지만, 오늘부터 국민을 위한 새로운 봉사의 시간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국민을 먹여 살리지 못하는 이념으로 막힌 상태를 끝내야 한다"며 "세계를 향해 닫았던 문을 열고 다양성 존중을 바탕으로 정의로운 민주주의 국가로 거듭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파스 대통령은 하이메 파스 사모라 볼리비아 전 대통령의 아들로, 사모라 전 대통령은 1980년 군사정권 시절 발생한 석연찮은 항공기 사고의 유일한 생존자로 국제사회에 알려져 있습니다.
남부 타리하 시장과 상원 의원을 지낸 파스 대통령은 지난 8월 1차 대선 투표 전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3∼4위권으로 분류됐습니다.
이후 청년 유권자의 눈길을 끈 경찰 출신 에드만 라라(40) 부통령과 함께 막판 돌풍을 일으키며 1위로 결선에 올랐고, 지난달 우파 호르헤 키로가 전 대통령과의 맞대결에서도 승리했습니다.
현지 소셜미디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라라 부통령은 경찰 제복을 입고 취임식장에 등장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중도 우파로 분류되는 파스 대통령은 정부 부처 축소와 권한 분산, 민간 부문 성장 촉진, 사회 복지 프로그램 유지 등 최근 40년 중 최악이라는 경제난 극복을 국정 과제 0순위로 꼽았습니다.
또 과거 정부에서 중국과 밀착하며 거리를 뒀던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도 적극적으로 교류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실리 외교를 핵심 기조로 내세웠습니다.
파스 대통령의 취임으로 1,130만 명의 볼리비아 국민은 2005년 대선 이후 약 20년 만에 사회주의 좌파 정권 대신 자유주의 중도 성향 정부를 품게 됐습니다.
볼리비아는 에보 모랄레스·루이스 아르세 집권으로 이어지는 기간에 자원 부국으로서의 경제 성장 잠재력이 무색하게 극심한 연료난과 외환 보유 위기 등을 반복적으로 겪었습니다.
이는 이번 대선에서 좌파 후보 참패로 이어지는 배경으로 작용했습니다.
취임식에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 산티아고 페냐 파라과이 대통령, 야만두 오르시 우루과이 대통령, 다니엘 노보아 에콰도르 대통령 등이 참석했습니다.
한국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인 한준호 의원이 대통령 경축 특사로 이장 주볼리비아 대사와 취임식장을 찾았고, 트럼프 행정부는 크리스토퍼 랜도 국무부 부장관을 보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파스 대통령은 볼리비아 수도 라파스에 있는 연방 의회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국민 통합을 상징하는 어깨띠를 받은 뒤 취임 일성으로 부패 척결과 경제난 타파를 강조했습니다.
파스 대통령은 "우리가 받은 것은 왕좌가 아니라 임무"라면서 "나라가 파산 상태이지만, 오늘부터 국민을 위한 새로운 봉사의 시간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국민을 먹여 살리지 못하는 이념으로 막힌 상태를 끝내야 한다"며 "세계를 향해 닫았던 문을 열고 다양성 존중을 바탕으로 정의로운 민주주의 국가로 거듭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파스 대통령은 하이메 파스 사모라 볼리비아 전 대통령의 아들로, 사모라 전 대통령은 1980년 군사정권 시절 발생한 석연찮은 항공기 사고의 유일한 생존자로 국제사회에 알려져 있습니다.
남부 타리하 시장과 상원 의원을 지낸 파스 대통령은 지난 8월 1차 대선 투표 전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3∼4위권으로 분류됐습니다.
이후 청년 유권자의 눈길을 끈 경찰 출신 에드만 라라(40) 부통령과 함께 막판 돌풍을 일으키며 1위로 결선에 올랐고, 지난달 우파 호르헤 키로가 전 대통령과의 맞대결에서도 승리했습니다.
현지 소셜미디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라라 부통령은 경찰 제복을 입고 취임식장에 등장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중도 우파로 분류되는 파스 대통령은 정부 부처 축소와 권한 분산, 민간 부문 성장 촉진, 사회 복지 프로그램 유지 등 최근 40년 중 최악이라는 경제난 극복을 국정 과제 0순위로 꼽았습니다.
또 과거 정부에서 중국과 밀착하며 거리를 뒀던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도 적극적으로 교류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실리 외교를 핵심 기조로 내세웠습니다.
파스 대통령의 취임으로 1,130만 명의 볼리비아 국민은 2005년 대선 이후 약 20년 만에 사회주의 좌파 정권 대신 자유주의 중도 성향 정부를 품게 됐습니다.
볼리비아는 에보 모랄레스·루이스 아르세 집권으로 이어지는 기간에 자원 부국으로서의 경제 성장 잠재력이 무색하게 극심한 연료난과 외환 보유 위기 등을 반복적으로 겪었습니다.
이는 이번 대선에서 좌파 후보 참패로 이어지는 배경으로 작용했습니다.
취임식에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 산티아고 페냐 파라과이 대통령, 야만두 오르시 우루과이 대통령, 다니엘 노보아 에콰도르 대통령 등이 참석했습니다.
한국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인 한준호 의원이 대통령 경축 특사로 이장 주볼리비아 대사와 취임식장을 찾았고, 트럼프 행정부는 크리스토퍼 랜도 국무부 부장관을 보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