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서 통상 월 천 달러, 약 150만 원 이상에 공급되던 위고비 등 주요 비만 치료제 가격이 250∼350달러, 약 36만∼50만 원 수준으로 낮춰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 6일 백악관에서 '젭바운드' 제약사인 일라이 일리, '위고비' 제약사인 노보 노디스크가 미국 내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라이 일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비만 치료약을 '최혜국 국가' 기준으로 미국 환자에게 제공하기로 했다"며 "위고비 가격은 월 1,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월 1,080달러에서 346달러로 내려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과 특정 장애인 의료 지원 프로그램인 메디케어, 저소득층을 위한 메디케이드 대상자의 경우엔 정부의 비용 지원으로 본인부담금이 50달러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설명했습니다.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가격을 낮추는 대가로 3년간 의약품 관세 면제 혜택을 보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고 전 세계 처방약의 13%를 소비할 뿐인데, 제약사들은 이익의 75%를 미국 소비자에게서 거둬간다"며 "만성적 불공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나는 올해 초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최혜국 약가' 정책을 전면 추진하도록 지시했다. 이 정책은 관세 덕분에 훨씬 수월해졌다"며 글로벌 제약사들의 잇단 약값 인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이번 약값 인하로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매출에서는 한 자릿수의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됐지만, 관세 면제 혜택을 보게 됩니다.
또 장기적으로는 약품 소비자가 늘면서 매출 감소를 상쇄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망했습니다.
일라이 릴리의 데이비드 릭스 최고경영자(CEO)는 회사의 재무 전망을 수정하지 않는다면서 내년 초가 되면 즉시 가격이 내려가겠지만 "거기서부터 판매량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투자은행 BMO 캐피털마켓의 헬스케어 연구책임자 에번 시거먼은 이번 합의로 두 회사가 초기엔 가격에서 타격을 입겠지만 향후 수년에 걸쳐 더 많은 환자를 확보하며 손실을 만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두 회사가 가입자가 6천700만 명이 넘는 메디케어를 통해 많은 잠재적 환자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관세를 지렛대로 글로벌 제약사들에 미국에서 판매하는 의약품 가격을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해왔습니다.
이에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유명 제약사들도 미국 내 약값을 인하하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앞서 합의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 6일 백악관에서 '젭바운드' 제약사인 일라이 일리, '위고비' 제약사인 노보 노디스크가 미국 내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라이 일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비만 치료약을 '최혜국 국가' 기준으로 미국 환자에게 제공하기로 했다"며 "위고비 가격은 월 1,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월 1,080달러에서 346달러로 내려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과 특정 장애인 의료 지원 프로그램인 메디케어, 저소득층을 위한 메디케이드 대상자의 경우엔 정부의 비용 지원으로 본인부담금이 50달러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설명했습니다.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가격을 낮추는 대가로 3년간 의약품 관세 면제 혜택을 보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고 전 세계 처방약의 13%를 소비할 뿐인데, 제약사들은 이익의 75%를 미국 소비자에게서 거둬간다"며 "만성적 불공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나는 올해 초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최혜국 약가' 정책을 전면 추진하도록 지시했다. 이 정책은 관세 덕분에 훨씬 수월해졌다"며 글로벌 제약사들의 잇단 약값 인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이번 약값 인하로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매출에서는 한 자릿수의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됐지만, 관세 면제 혜택을 보게 됩니다.
또 장기적으로는 약품 소비자가 늘면서 매출 감소를 상쇄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망했습니다.
일라이 릴리의 데이비드 릭스 최고경영자(CEO)는 회사의 재무 전망을 수정하지 않는다면서 내년 초가 되면 즉시 가격이 내려가겠지만 "거기서부터 판매량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투자은행 BMO 캐피털마켓의 헬스케어 연구책임자 에번 시거먼은 이번 합의로 두 회사가 초기엔 가격에서 타격을 입겠지만 향후 수년에 걸쳐 더 많은 환자를 확보하며 손실을 만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두 회사가 가입자가 6천700만 명이 넘는 메디케어를 통해 많은 잠재적 환자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관세를 지렛대로 글로벌 제약사들에 미국에서 판매하는 의약품 가격을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해왔습니다.
이에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유명 제약사들도 미국 내 약값을 인하하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앞서 합의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