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기후변화 대응 없애려 각국 '동네깡패식' 위협

트럼프 행정부, 기후변화 대응 없애려 각국 '동네깡패식' 위협

2025.11.07. 오전 10:3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 협정을 무산시키려고 각국에 '협박 외교'를 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현지시간 6일 보도했습니다.

지난달 100개국 이상이 선박 오염 감축을 위한 국제 협정 승인을 추진했으나, 이를 막고자 미국이 유례없는 압박 캠페인을 벌였다고 협상에 직접 관여한 외교관 9명이 전했습니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수년간 협상해온 이 협정은 오염 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선박에 요금을 부과해 업계의 친환경 전환을 유도하는 내용입니다.

대부분 국가가 이 계획에 찬성하려고 했지만, 미국의 위협에 직면한 여러 국가가 지지를 철회해 트럼프 행정부는 결국 표결 무산에 성공했습니다.

한 아시아 국가 대사는 협정에 찬성하면 자국 선원들이 더는 미국 항구에서 하선하지 못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으며, 카리브해 국가 외교관들은 미국 입국이 금지될 수 있다는 위협을 받았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여러 나라 관리들에게 개인적으로 전화를 걸어 협정을 계속 지지하면 금융 등 분야에서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밖에도 관세 부과, 제재, 외교관 비자 취소 등 다양한 형태로 가해진 위협이 결국 협정 무산에 효과를 발휘했다고 외교관들은 전했습니다.

외교관들은 미국의 접근 방식이 무례하고 개인적이었으며 주로 미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은 개발도상국을 겨냥했다고 비판했습니다.

협상에 참여한 관계자로부터 관련 내용을 보고받은 민주당 소속 쉘든 화이트하우스 상원의원은 "갱단이 동네 가게에 쳐들어와 유리창을 깨고 주인을 협박하는 것 같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을 '충격과 공포의 깡패식 접근법'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전직 미국 외교관이자 에너지부 관료였던 데이비드 골드윈은 "국가 안보 사안도 아니고 알카에다 관련 결의안도 아닌데 대응이 과도했다"며 "교통 법규 위반에 순항 미사일을 쏜 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백악관과 미 국무부·에너지부는 이런 개인적 협박이나 외교적 위협이 있었다는 주장을 완강히 부인했습니다.

그러나 배출 규제가 미국 경제에 해를 끼친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하며 협정을 좌초시킨 사실은 인정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산 석유·가스·석탄 판매 확대를 핵심 목표로 세우고 화석 연료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국제 기후 정책에 줄곧 반대해왔습니다.

미국의 파리기후협정 탈퇴를 추진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지구온난화를 '세계 역사상 최대 사기극', '멍청한 사람들이 만든 과학' 등으로 불러왔습니다.

테일러 로저스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의 이익에 반하는 가짜 기후협정에는 미국이 동참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밝혀왔다"며 "IMO가 오히려 각국에 나쁜 정책을 강요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IMO가 미국을 괴롭혀 그들의 친환경 에너지 사기극을 지원하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