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서 보통 한 달에 천 달러, 우리 돈 150만 원 이상에 공급되던 위고비 등 주요 비만 치료제 가격이 250∼350달러, 약 36만 원∼50만 원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 시간 6일 백악관에서 '젭바운드' 제약사인 일라이 일리, '위고비' 제약사인 노보 노디스크가 미국 내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제약사는 비만 치료약을 최혜국 기준으로 미국에 제공하기로 했다"며 "위고비 가격은 월 1천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월 1천80달러에서 346달러로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과 특정 장애인 의료 지원 프로그램인 메디케어 대상자와 저소득층 의료 지원 프로그램인 메디케이드의 경우 정부의 비용 지원으로 본인부담금이 50달러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올해 초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최혜국 약가 정책을 전면 추진하도록 지시했고, 이 정책은 관세 덕분에 훨씬 수월해졌다"며 글로벌 제약사들의 잇단 약값 인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은 연내 새롭게 개설될 웹사이트 '트럼프알엑스'(TrumpRx)에서 직접 이들 비만 치료제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위고비와 젭바운드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계열 비만 치료제로,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식욕 억제를 돕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가 '뚱보 약'(fat drug)이라고 부르는 이 약들은 효과가 좋고 지금까지 이 약들에 대해 나쁜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며 "이 약들은 수많은 미국인의 생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은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고 전 세계 처방 약의 13%를 소비할 뿐인데, 제약사들은 이익의 75%를 미국 소비자에게서 거둬간다"며 "만성적 불공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은 제약사가 자율적으로 약값을 결정하는데, 결정 과정에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와 민간 보험사 등의 관여로 인해 약값이 더 올라가면서 약값이 다른 나라보다 비싸게 책정돼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관세를 지렛대로 글로벌 제약사들에 미국에서 판매하는 의약품 가격을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해왔습니다.
이에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유명 제약사들도 미국 내 약값을 인하하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앞서 합의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 시간 6일 백악관에서 '젭바운드' 제약사인 일라이 일리, '위고비' 제약사인 노보 노디스크가 미국 내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제약사는 비만 치료약을 최혜국 기준으로 미국에 제공하기로 했다"며 "위고비 가격은 월 1천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월 1천80달러에서 346달러로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과 특정 장애인 의료 지원 프로그램인 메디케어 대상자와 저소득층 의료 지원 프로그램인 메디케이드의 경우 정부의 비용 지원으로 본인부담금이 50달러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올해 초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최혜국 약가 정책을 전면 추진하도록 지시했고, 이 정책은 관세 덕분에 훨씬 수월해졌다"며 글로벌 제약사들의 잇단 약값 인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은 연내 새롭게 개설될 웹사이트 '트럼프알엑스'(TrumpRx)에서 직접 이들 비만 치료제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위고비와 젭바운드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계열 비만 치료제로,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식욕 억제를 돕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가 '뚱보 약'(fat drug)이라고 부르는 이 약들은 효과가 좋고 지금까지 이 약들에 대해 나쁜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며 "이 약들은 수많은 미국인의 생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은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고 전 세계 처방 약의 13%를 소비할 뿐인데, 제약사들은 이익의 75%를 미국 소비자에게서 거둬간다"며 "만성적 불공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은 제약사가 자율적으로 약값을 결정하는데, 결정 과정에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와 민간 보험사 등의 관여로 인해 약값이 더 올라가면서 약값이 다른 나라보다 비싸게 책정돼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관세를 지렛대로 글로벌 제약사들에 미국에서 판매하는 의약품 가격을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해왔습니다.
이에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유명 제약사들도 미국 내 약값을 인하하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앞서 합의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