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본제철에 인수된 US스틸이 110억 달러(약 15조 9천억 원)를 투자해 설비를 업그레이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AP 통신은 US스틸이 새 모기업인 일본제철과 함께 2028년까지 전 사업 부문에 걸쳐 110억 달러를 투자해 100년 넘은 제철소 설비를 현대화하는 성장 계획을 구체화해 발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일본제철이 미국 피츠버그에 본사를 둔 US스틸을 약 150억 달러(약 21조 7천억 원)에 인수하는 역사적인 파트너십을 마무리한 지 5개월 만에 이뤄졌습니다.
이 합병으로 탄생한 회사는 규모 면에서 세계 4위 철강 업체가 됐습니다.
미국 연방정부는 인수 계약에서 '황금주'를 확보해 이사회 구성원을 1명 임명하고 일부 주요 경영 결정에 의견을 낼 수 있는 권한을 얻었습니다.
US스틸은 이번 자본투자를 통해 25억 달러(약 3조 6천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여기에 운영 효율화로 5억 달러(약 7,200억 원)를 추가로 절약한다는 목표입니다.
그러면서 일본제철로부터 약 50명의 전문인력을 지원받아 모든 사업 영역에 걸쳐 200여 개의 비용 절감 방안을 찾아냈다고 설명했습니다.
US스틸은 제조 설비 현대화와 확장,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저탄소 배출 철강 생산을 구현한다는 구상입니다.
일본제철은 우선 수조 원을 투자해 US스틸 아칸소주 제철소에 생산 설비를 신설해 미국 내 데이터센터 등에 사용되는 고급 강재를 2028년 이후 양산한다는 방침입니다.
구체적인 품목은 전기를 자기로 변환하는 강판으로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이 제품을 생산하는 미국 업체는 클리블랜드 클리프스 외에는 없다고 니혼 게이자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또 "일본제철이 클리블랜드 클리프스가 독점해 온 시장에 균열을 내면 US스틸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라며 이는 인공지능(AI) 투자를 늘리는 미국 기술 기업의 수요를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데이브 버릿 US스틸 최고경영자(CEO)는 "매우 탄탄한 성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미국 전역에서 10만 개가 넘는 일자리를 보호하고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제철은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손실액 전망치를 기존 400억 엔(약 3,760억 원)에서 600억 엔(약 5,650억 원)으로 늘려 잡았습니다.
닛케이는 "미국 시장의 불투명성을 고려해 US스틸 실적을 재검토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P 통신은 US스틸이 새 모기업인 일본제철과 함께 2028년까지 전 사업 부문에 걸쳐 110억 달러를 투자해 100년 넘은 제철소 설비를 현대화하는 성장 계획을 구체화해 발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일본제철이 미국 피츠버그에 본사를 둔 US스틸을 약 150억 달러(약 21조 7천억 원)에 인수하는 역사적인 파트너십을 마무리한 지 5개월 만에 이뤄졌습니다.
이 합병으로 탄생한 회사는 규모 면에서 세계 4위 철강 업체가 됐습니다.
미국 연방정부는 인수 계약에서 '황금주'를 확보해 이사회 구성원을 1명 임명하고 일부 주요 경영 결정에 의견을 낼 수 있는 권한을 얻었습니다.
US스틸은 이번 자본투자를 통해 25억 달러(약 3조 6천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여기에 운영 효율화로 5억 달러(약 7,200억 원)를 추가로 절약한다는 목표입니다.
그러면서 일본제철로부터 약 50명의 전문인력을 지원받아 모든 사업 영역에 걸쳐 200여 개의 비용 절감 방안을 찾아냈다고 설명했습니다.
US스틸은 제조 설비 현대화와 확장,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저탄소 배출 철강 생산을 구현한다는 구상입니다.
일본제철은 우선 수조 원을 투자해 US스틸 아칸소주 제철소에 생산 설비를 신설해 미국 내 데이터센터 등에 사용되는 고급 강재를 2028년 이후 양산한다는 방침입니다.
구체적인 품목은 전기를 자기로 변환하는 강판으로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이 제품을 생산하는 미국 업체는 클리블랜드 클리프스 외에는 없다고 니혼 게이자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또 "일본제철이 클리블랜드 클리프스가 독점해 온 시장에 균열을 내면 US스틸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라며 이는 인공지능(AI) 투자를 늘리는 미국 기술 기업의 수요를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데이브 버릿 US스틸 최고경영자(CEO)는 "매우 탄탄한 성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미국 전역에서 10만 개가 넘는 일자리를 보호하고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제철은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손실액 전망치를 기존 400억 엔(약 3,760억 원)에서 600억 엔(약 5,650억 원)으로 늘려 잡았습니다.
닛케이는 "미국 시장의 불투명성을 고려해 US스틸 실적을 재검토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