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일부 유럽 지역에서 발생한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 현상이 아시아로까지 확산했다고 CNN 방송이 현지시간 1일 보도했습니다.
오버투어리즘은 관광객들 때문에 주민들의 삶의 질이 악화하고, 관광 명소들이 훼손되는 현상입니다.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관광객 수는 지난해보다 20%나 급증했습니다.
동남아시아도 마찬가지로, 올해 상반기 베트남을 찾은 외국 관광객 수는 21% 증가했습니다.
아시아에서 오버투어리즘의 폐해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는 곳은 지난해 5천6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일본의 교토입니다.
각 명승지는 넘쳐나는 인파 탓에 여유 있는 관광이 불가능하고, 골목길까지 인파가 몰리면서 주민들은 출퇴근과 통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요미우리신문의 설문에 따르면 교토 시민 90%가 오버투어리즘에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신사나 사찰 등 종교시설에서 무례한 행동을 하는 데 대해 불만이 집중됐습니다.
이에 따라 교토시는 지난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기온 지역에서 무단 촬영을 금지했습니다.
또한 교토는 호텔과 여관 투숙자에게 부과하는 숙박세 상한액을 기존 1천 엔(약 9천300원)에서 1만 엔(약 9만3천 원)으로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시구로 유스케 훗카이도대 교수는 "일본은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나라"라며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3분의 1에 이르면 균형이 무너졌다고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발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발리의 사원에서 옷을 벗고 사진을 찍거나 헬멧 없이 오토바이를 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무례한 행동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습니다.
태국은 외국 관광객이 약 6% 감소했지만, 푸껫 같은 유명 관광지는 여전히 인파로 가득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최근 푸껫 당국은 교통 체증과 불 부족 등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필리핀의 경우 지난 2018년 환경 회복을 목적으로 보라카이 섬을 6개월간 폐쇄하고, 재개장 이후엔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무허가 숙소를 금지했습니다.
다만 규정을 무시하는 관광객은 여전히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행 전문가 게리 바워먼은 "관광객을 체포하는 것은 국가 이미지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법을 만들어도 시행이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버투어리즘은 관광객들 때문에 주민들의 삶의 질이 악화하고, 관광 명소들이 훼손되는 현상입니다.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관광객 수는 지난해보다 20%나 급증했습니다.
동남아시아도 마찬가지로, 올해 상반기 베트남을 찾은 외국 관광객 수는 21% 증가했습니다.
아시아에서 오버투어리즘의 폐해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는 곳은 지난해 5천6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일본의 교토입니다.
각 명승지는 넘쳐나는 인파 탓에 여유 있는 관광이 불가능하고, 골목길까지 인파가 몰리면서 주민들은 출퇴근과 통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요미우리신문의 설문에 따르면 교토 시민 90%가 오버투어리즘에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신사나 사찰 등 종교시설에서 무례한 행동을 하는 데 대해 불만이 집중됐습니다.
이에 따라 교토시는 지난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기온 지역에서 무단 촬영을 금지했습니다.
또한 교토는 호텔과 여관 투숙자에게 부과하는 숙박세 상한액을 기존 1천 엔(약 9천300원)에서 1만 엔(약 9만3천 원)으로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시구로 유스케 훗카이도대 교수는 "일본은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나라"라며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3분의 1에 이르면 균형이 무너졌다고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발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발리의 사원에서 옷을 벗고 사진을 찍거나 헬멧 없이 오토바이를 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무례한 행동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습니다.
태국은 외국 관광객이 약 6% 감소했지만, 푸껫 같은 유명 관광지는 여전히 인파로 가득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최근 푸껫 당국은 교통 체증과 불 부족 등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필리핀의 경우 지난 2018년 환경 회복을 목적으로 보라카이 섬을 6개월간 폐쇄하고, 재개장 이후엔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무허가 숙소를 금지했습니다.
다만 규정을 무시하는 관광객은 여전히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행 전문가 게리 바워먼은 "관광객을 체포하는 것은 국가 이미지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법을 만들어도 시행이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