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연준 의장 "3.75~4%로 기준 금리 인하"
마이런 "0.5%p 내려야" vs 슈미드 "금리 동결해야"
연준 "만기 도래 국채 상환 중단"…양적 긴축 종료
연준 "인플레이션 높아…경제 성장·고용 강화"
마이런 "0.5%p 내려야" vs 슈미드 "금리 동결해야"
연준 "만기 도래 국채 상환 중단"…양적 긴축 종료
연준 "인플레이션 높아…경제 성장·고용 강화"
AD
[앵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고, 양적 긴축 정책을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연준이 물가 관리보다는 경기 둔화 대응에 초점을 둔 것으로 풀이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의장을 비판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습니다.
뉴욕을 연결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연준이 2개월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틀 일정의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 FOMC를 마친 뒤 기준 금리를 현행 4%∼4.25%에서 3.75%~4%로 내린다고 밝혔습니다.
FOMC 위원 중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한 반면,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며 맞섰습니다.
연준은 만기 도래 국채 상환을 중단하겠다고 밝혀 시중의 유동 자금을 줄이는 '양적 긴축' 정책을 종료해 경기 둔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 배경으로 "올해 고용 증가세가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다"면서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최근 몇 달 동안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올해 1월 이후 관세로 인한 물가 인상에 대비하기 위해 다섯 차례 연속 동결을 이어갔습니다.
지난달 고용 둔화를 이유로 8개월 만에 금리 인하를 단행한 데 이어 이번에는 경기 둔화 대응을 이유로 2개월 연속 금리를 내렸습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경제 성장과 고용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들어 두 번째로 금리를 인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직접 들어보시죠.
[제롬 파월 / 미국 연방준비은행 의장 : 경제 지표는 경제 활동 확장이 완만해졌음을 시사합니다. 상반기 GDP는 1.6% 증가해 지난해의 2.4%보다 둔화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를 올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APEC 최고경영자 서밋 특별 연설에서 올해 3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을 4%로 예상하며 앞으로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금리를 올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을 향해 "무능하다"고 비난하고 "앞으로 몇 달 안에 떠날 것이며, 모두가 좋아할 새로운 인물을 연준 의장에 임명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이유로 기준 금리 인하에 적극적이지 않은 연준에 '금리를 1%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연준에 대해 꾸준히 불만을 드러내 온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봄 임기가 끝나는 파월 의장 후임인 차기 의장 지명자를 연말 이전에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뉴욕 증시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뉴욕 증시 3대 지수의 반응은 엇갈리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상승했습니다.
세 가지 이유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파월 의장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며 이번 금리 인하가 경기 방어적 성격임을 드러내면서 경기가 좋지 않다는 신호로 증시가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둘째, 파월 의장은 12월 금리 인하는 '결정된 것과 거리가 멀다'고 밝혀 향후 금리 인하 기대치가 일부 축소됐습니다.
셋째, 나스닥이 오른 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이미 높은 수준인 와중에도 금리 인하가 이뤄진 만큼 일단 당분간 금리가 내려갈 것이란 기대감도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 : 최고은
영상편집 : 이영훈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고, 양적 긴축 정책을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연준이 물가 관리보다는 경기 둔화 대응에 초점을 둔 것으로 풀이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의장을 비판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습니다.
뉴욕을 연결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연준이 2개월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틀 일정의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 FOMC를 마친 뒤 기준 금리를 현행 4%∼4.25%에서 3.75%~4%로 내린다고 밝혔습니다.
FOMC 위원 중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한 반면,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며 맞섰습니다.
연준은 만기 도래 국채 상환을 중단하겠다고 밝혀 시중의 유동 자금을 줄이는 '양적 긴축' 정책을 종료해 경기 둔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 배경으로 "올해 고용 증가세가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다"면서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최근 몇 달 동안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올해 1월 이후 관세로 인한 물가 인상에 대비하기 위해 다섯 차례 연속 동결을 이어갔습니다.
지난달 고용 둔화를 이유로 8개월 만에 금리 인하를 단행한 데 이어 이번에는 경기 둔화 대응을 이유로 2개월 연속 금리를 내렸습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경제 성장과 고용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들어 두 번째로 금리를 인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직접 들어보시죠.
[제롬 파월 / 미국 연방준비은행 의장 : 경제 지표는 경제 활동 확장이 완만해졌음을 시사합니다. 상반기 GDP는 1.6% 증가해 지난해의 2.4%보다 둔화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를 올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APEC 최고경영자 서밋 특별 연설에서 올해 3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을 4%로 예상하며 앞으로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금리를 올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을 향해 "무능하다"고 비난하고 "앞으로 몇 달 안에 떠날 것이며, 모두가 좋아할 새로운 인물을 연준 의장에 임명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이유로 기준 금리 인하에 적극적이지 않은 연준에 '금리를 1%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연준에 대해 꾸준히 불만을 드러내 온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봄 임기가 끝나는 파월 의장 후임인 차기 의장 지명자를 연말 이전에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뉴욕 증시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뉴욕 증시 3대 지수의 반응은 엇갈리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상승했습니다.
세 가지 이유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파월 의장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며 이번 금리 인하가 경기 방어적 성격임을 드러내면서 경기가 좋지 않다는 신호로 증시가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둘째, 파월 의장은 12월 금리 인하는 '결정된 것과 거리가 멀다'고 밝혀 향후 금리 인하 기대치가 일부 축소됐습니다.
셋째, 나스닥이 오른 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이미 높은 수준인 와중에도 금리 인하가 이뤄진 만큼 일단 당분간 금리가 내려갈 것이란 기대감도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 : 최고은
영상편집 : 이영훈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