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 2단계 논의 교착 속 가자 임시 휴전선, 영구 분단선 되나

휴전 2단계 논의 교착 속 가자 임시 휴전선, 영구 분단선 되나

2025.10.27. 오전 10: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가자지구 휴전이 2단계로 진척되지 못하는 가운데 휴전 1단계를 위해 이스라엘군이 그은 임시 경계선이 영구적인 국경선으로 굳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6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가자지구 내 휴전선을 표시한 임시 노란색 경계선이 점차 새로운 국경선이 돼 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휴전 1단계 상태에서 자신들의 통제 지역을 표시하기 위해 200m 간격으로 노란색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했습니다.

이 중 서부 지역에서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친이스라엘' 무장단체 대원을 공개 처형하는 등 이스라엘이 부분적으로 철수한 틈을 타 이 지역을 재장악하려 하고 있고, 나머지 절반인 동부와 남·북부 국경 지역은 이스라엘이 통제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일 발효된 휴전 협정에 따라 그어진 경계선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의 53%를 점령하게 돼 있습니다.

문제는 이스라엘군이 이 경계선에 다가오는 사람들에게 무차별 발포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가디언은 지적했습니다.

휴전 이후 2주가 지난 현재까지도 하루 평균 팔레스타인인 20명이 사망하는데, 이 중 다수는 노란 선 인근에서 목숨을 잃었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습니다.

현재 휴전 1단계가 사망 인질 시신 전원 송환이 지체되면서 위태롭게 유지되고 있는 데다 2단계 협상 역시 난항이 예상되면서 노란색 경계선이 영구적인 국경선이 될 가능성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휴전 2단계에서는 하마스 무장해제, 가자지구의 전후 통치 방식, 국제 안정화군 배치 등을 다루는데, 이견 조정이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군사 전문기자인 요아브 지툰은 노란 선이 "가자지구를 축소하고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을 허용하는 높고 정교한 장벽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난민 지원단체인 국제난민(RI)의 제러미 코니딕도 노란 선을 두고 "서서히 진행되는 사실상의 가자 병합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