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 첫 방문국인 말레이시아에서 동남아 국가들과 무역 합의를 타결했습니다.
미 백악관은 현지 시간 26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과의 무역 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에 따르면 미국은 말레이시아·캄보디아·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19%로 베트남과는 20%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은 미국의 공산품과 농산물 수출품에 대해 시장 우대 접근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캄보디아와 태국은 미국산 공산품, 식품·농산품에 부과되던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습니다.
미국과 또 동남아 국가들은 자동차 안전·배출가스 기준, 의약품 및 의료기기 허가 기준 등 비관세 장벽도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미국의 디지털 서비스나 디지털 제품에 대해 '디지털세'를 도입하지 않기로 했으며, 차별적 조치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미국과 이들 동남아 국가들의 무역 합의 공동성명에는 "경제 및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공급망의 회복력과 혁신을 제고하며, 관세 회피를 방지하고, 투자 안보 및 수출 통제 분야에서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특히 말레이시아는 미국에 대해 핵심광물 및 희토류 원소 수출을 금지하거나 할당제를 두지 않기로 약속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기업과 협력해 핵심 광물 및 희토류 산업의 신속한 발전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이 전세계 국가들을 상대로 자국이 우위를 점한 희토류 수출 통제를 예고한 상황에서 미국과 동남아 국가간 이번 합의는 양측간 협력을 강화하며 중국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YTN 신웅진 (ujsh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 백악관은 현지 시간 26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과의 무역 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에 따르면 미국은 말레이시아·캄보디아·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19%로 베트남과는 20%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은 미국의 공산품과 농산물 수출품에 대해 시장 우대 접근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캄보디아와 태국은 미국산 공산품, 식품·농산품에 부과되던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습니다.
미국과 또 동남아 국가들은 자동차 안전·배출가스 기준, 의약품 및 의료기기 허가 기준 등 비관세 장벽도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미국의 디지털 서비스나 디지털 제품에 대해 '디지털세'를 도입하지 않기로 했으며, 차별적 조치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미국과 이들 동남아 국가들의 무역 합의 공동성명에는 "경제 및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공급망의 회복력과 혁신을 제고하며, 관세 회피를 방지하고, 투자 안보 및 수출 통제 분야에서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특히 말레이시아는 미국에 대해 핵심광물 및 희토류 원소 수출을 금지하거나 할당제를 두지 않기로 약속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기업과 협력해 핵심 광물 및 희토류 산업의 신속한 발전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이 전세계 국가들을 상대로 자국이 우위를 점한 희토류 수출 통제를 예고한 상황에서 미국과 동남아 국가간 이번 합의는 양측간 협력을 강화하며 중국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YTN 신웅진 (ujsh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