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국가라는 뜻의 '뉴클리어 파워'라고 다시 언급했습니다.
북한이 핵무기를 가진 현실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깜짝 회동을 위해 김정원 국무위원장을 유인하려는 행보로 보입니다.
AFP 통신은 아시아 순방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미국과의 대화 전제조건으로 북한이 핵보유국 인정을 요구하는 것에 열려있느냐는 질문에 자신은 그들이 일종의 '뉴클리어 파워'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은 핵무기를 많이 보유하고 있고, 자신은 그 점을 말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는 취임 당일인 1월 20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뤄진 취재진과의 질의 응답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칭하고서 자신이 돌아온 것을 그가 반기리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3월에도 김 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 다시 지칭하며 북한을 인도와 파키스탄 등 사실상의 핵보유국과 같은 선상에 놓는 듯한 언급을 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밝혀왔는데, 이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 정부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이 핵무기를 가진 현실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깜짝 회동을 위해 김정원 국무위원장을 유인하려는 행보로 보입니다.
AFP 통신은 아시아 순방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미국과의 대화 전제조건으로 북한이 핵보유국 인정을 요구하는 것에 열려있느냐는 질문에 자신은 그들이 일종의 '뉴클리어 파워'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은 핵무기를 많이 보유하고 있고, 자신은 그 점을 말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는 취임 당일인 1월 20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뤄진 취재진과의 질의 응답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칭하고서 자신이 돌아온 것을 그가 반기리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3월에도 김 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 다시 지칭하며 북한을 인도와 파키스탄 등 사실상의 핵보유국과 같은 선상에 놓는 듯한 언급을 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밝혀왔는데, 이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 정부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