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화약고 '탈레반의 전쟁', 파키스탄 핵무기도 위협?

또다른 화약고 '탈레반의 전쟁', 파키스탄 핵무기도 위협?

2025.10.25. 오전 02:3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이 어렵사리 휴전에 합의하면서, 양측의 충돌은 일단 수면 밑으로 가라앉게 됐습니다.

하지만 언제든 다시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작지 않아서 파키스탄 핵 시설이나 핵무기의 안전도 장담할 수 없다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김선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휴전 합의를 위해 아프가니스탄 대표단이 카타르 도하에 도착합니다.

수백 명의 사상자를 냈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충돌은 이웃 국가들의 중재로 다행히 열흘 만에 멈췄습니다.

[몰비 무하마드 야쿱 / 아프가니스탄 국방장관 : 협상은 성공적이었습니다. 완전한 휴전이 선언되었고, 이 휴전을 영구적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시작은 파키스탄 내 반군조직인 파키스탄 탈레반, TTP를 둘러싼 갈등으로 촉발됐지만, 이면에는 오랜 국경 분쟁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탈레반 정권 출범 이후 이른바 '듀랜드 라인'으로 불리는 2천6백km의 국경선을 놓고 파키스탄과 마찰이 끊이질 않습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의 비호 속에 파키스탄 서북부에서 활동하고 있는 TTP가 최근에는 인도의 지원까지 받으면서 파키스탄을 더욱 자극하고 있습니다.

[아메드 샤리프 쇼다리 / 파키스탄 군 대변인 : 파키스탄 국민의 생명과 재산, 영토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고 주저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 8월 3자 회담을 주선하기도 했던 중국도 바빠졌습니다.

중국 내부의 이슬람 반정부 조직과 TTP와의 연계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중국은 두 나라의 협조가 절실합니다.

[린젠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은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 개선과 발전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탈레반 정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러시아나 중국과 인도 견제가 필요한 미국도 신경을 쓰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여기다 병력이 3만5천 명에 달하는 TTP가 파키스탄 내 세력을 더욱 확장할 경우 파키스탄 내 핵무기 탈취 가능성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파키스탄은 적어도 170기 이상의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YTN 김선중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디자인 : 임샛별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