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한때 공습을 재개한 것과 관련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은 유효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전용기로 이동 중에 '가자 휴전이 여전히 유효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또 하마스의 휴전 합의 위반 논란에 대해 하마스 지도부가 관여하지 않았다고 시사하면서, '내부의 일부 반란군'을 지목해 비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어떻게든, 이 문제는 제대로 처리될 것이다. 그것은 강경하게, 그러나 적절하게 처리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타결된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1단계 휴전 합의는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발표 9일 만인 이날 첫 중대 시험대에 직면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휴전 협정 위반을 비난하면서 이날 오전 가자지구 남부의 하마스 테러 목표물에 대해 수십 차례 공격을 가했으며, 밤이 되자 일단 "휴전 협정을 계속 유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관련해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싸움을 중단하고 현재의 전선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종전의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분할된 대로 둬라. 지금 분할된 상태다. 러시아가 이미 그 땅의 78%를 차지한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 상태 그대로 두라. 그들이 나중에 그에 따라서 뭔가를 협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NN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그 땅'은 도네츠크를 지칭한 것이며 답변은 전날 워싱턴포스트(WP) 보도 뒤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WP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우크라이나가 도네츠크를 완전히 포기하면 전쟁을 끝내겠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도네츠크에 러시아군의 본토 진격을 막기 위한 요새를 두고 있어 이를 내주면 전략적으로 크게 취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해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와 관련해서도 수입을 중단하지 않으면 "막대한 관세"를 계속 내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
인도가 러시아의 전쟁 자금 원천인 원유를 수입해선 안 된다고 압박해 온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 모디 총리와 통화했는데, 그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재차 주장했습니다.
이어 '원유 수입을 중단하겠다'는 대화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인도 정부를 향해서는 "그들이 그렇게 말하고 싶다면, 그들은 계속 막대한 관세를 내야 할 텐데, 그들은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환 위기에 처한 아르헨티나와의 200억 달러(약 28조4천억 원) 규모 통화 스와프 협상을 공식화하면서 국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 것과 관련해서는 "아르헨티나는 살아남기 위해 정말 열심히 싸우고 있다"면서 옹호했습니다.
또 "경제가 어려운 아르헨티나에서 소고기를 구매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면서 그렇게 하면 국내 쇠고기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전용기로 이동 중에 '가자 휴전이 여전히 유효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또 하마스의 휴전 합의 위반 논란에 대해 하마스 지도부가 관여하지 않았다고 시사하면서, '내부의 일부 반란군'을 지목해 비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어떻게든, 이 문제는 제대로 처리될 것이다. 그것은 강경하게, 그러나 적절하게 처리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타결된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1단계 휴전 합의는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발표 9일 만인 이날 첫 중대 시험대에 직면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휴전 협정 위반을 비난하면서 이날 오전 가자지구 남부의 하마스 테러 목표물에 대해 수십 차례 공격을 가했으며, 밤이 되자 일단 "휴전 협정을 계속 유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관련해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싸움을 중단하고 현재의 전선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종전의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분할된 대로 둬라. 지금 분할된 상태다. 러시아가 이미 그 땅의 78%를 차지한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 상태 그대로 두라. 그들이 나중에 그에 따라서 뭔가를 협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NN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그 땅'은 도네츠크를 지칭한 것이며 답변은 전날 워싱턴포스트(WP) 보도 뒤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WP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우크라이나가 도네츠크를 완전히 포기하면 전쟁을 끝내겠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도네츠크에 러시아군의 본토 진격을 막기 위한 요새를 두고 있어 이를 내주면 전략적으로 크게 취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해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와 관련해서도 수입을 중단하지 않으면 "막대한 관세"를 계속 내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
인도가 러시아의 전쟁 자금 원천인 원유를 수입해선 안 된다고 압박해 온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 모디 총리와 통화했는데, 그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재차 주장했습니다.
이어 '원유 수입을 중단하겠다'는 대화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인도 정부를 향해서는 "그들이 그렇게 말하고 싶다면, 그들은 계속 막대한 관세를 내야 할 텐데, 그들은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환 위기에 처한 아르헨티나와의 200억 달러(약 28조4천억 원) 규모 통화 스와프 협상을 공식화하면서 국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 것과 관련해서는 "아르헨티나는 살아남기 위해 정말 열심히 싸우고 있다"면서 옹호했습니다.
또 "경제가 어려운 아르헨티나에서 소고기를 구매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면서 그렇게 하면 국내 쇠고기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