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에콰도르의 대표적 강성 원주민 단체인 에콰도르 토착인 연맹(CONAIE)이 정부의 연료 보조금 폐지 정책에 반발해 조직한 시위 지속 의지를 다지면서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CONAIE 지도자들은 산악 지방을 순회하며 지난달 하순부터 시작한 '국가 총파업'의 배경을 설명하는 한편 적극적인 동참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마를론 바르가스 CONAIE 대표는 "정부가 우리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수도 키토 점령을 결심할 것"이라며 "국민의 존엄을 위해 목숨을 잃어야 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에콰도르 정부가 재정 건전성 확보를 이유로 연료 보조금을 폐지하자 이에 반발한 CONAIE가 지난달 18일 무기한 국가 총파업을 결의했습니다.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된 시위는 북부 임바부라를 중심으로 고속도로 봉쇄, 도로 행진, 공공 시설물 파손으로 이어지다 지난달 28일 총격으로 시위대 1명이 숨진 것을 격화하고 있습니다.
에콰도르 국방부는 "군이 시위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임무 수행 중이던 장병 12명이 다치고 17명이 억류됐다"면서 강경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수도권으로 시위가 번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다니엘 노보아 에콰도르 정부는 "심각한 내부 불안"을 이유로 10개 주에 새롭게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국 24개 주 가운데 집회·시위의 자유 등이 제한되는 지역은 기존 2개 주에서 12개 주로 대폭 늘었고, 주요 거점에는 군경이 배치됐습니다.
현지 방송인 에쿠아비사는 오는 12일 키토 남부에서 대학생 연합까지 동참하는 대규모 거리 행진이 예고돼 있다고 전했습니다.
에콰도르 원주민 인구는 110만 명으로 전체 인구(1,800만 명)의 6% 정도에 불과하지만, 강한 결속력에 기반한 대규모 시위로 뜻을 관철해 왔습니다.
앞서 2019년과 2022년에도 CONAIE는 연료 보조비 삭감 반대 시위를 벌였는데, 특히 2019년에는 시위대와 군경 간의 충돌로 7명이 숨지고 2천 명이 다친 끝에 정부는 보조금 폐지 정책을 접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NAIE 지도자들은 산악 지방을 순회하며 지난달 하순부터 시작한 '국가 총파업'의 배경을 설명하는 한편 적극적인 동참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마를론 바르가스 CONAIE 대표는 "정부가 우리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수도 키토 점령을 결심할 것"이라며 "국민의 존엄을 위해 목숨을 잃어야 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에콰도르 정부가 재정 건전성 확보를 이유로 연료 보조금을 폐지하자 이에 반발한 CONAIE가 지난달 18일 무기한 국가 총파업을 결의했습니다.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된 시위는 북부 임바부라를 중심으로 고속도로 봉쇄, 도로 행진, 공공 시설물 파손으로 이어지다 지난달 28일 총격으로 시위대 1명이 숨진 것을 격화하고 있습니다.
에콰도르 국방부는 "군이 시위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임무 수행 중이던 장병 12명이 다치고 17명이 억류됐다"면서 강경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수도권으로 시위가 번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다니엘 노보아 에콰도르 정부는 "심각한 내부 불안"을 이유로 10개 주에 새롭게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국 24개 주 가운데 집회·시위의 자유 등이 제한되는 지역은 기존 2개 주에서 12개 주로 대폭 늘었고, 주요 거점에는 군경이 배치됐습니다.
현지 방송인 에쿠아비사는 오는 12일 키토 남부에서 대학생 연합까지 동참하는 대규모 거리 행진이 예고돼 있다고 전했습니다.
에콰도르 원주민 인구는 110만 명으로 전체 인구(1,800만 명)의 6% 정도에 불과하지만, 강한 결속력에 기반한 대규모 시위로 뜻을 관철해 왔습니다.
앞서 2019년과 2022년에도 CONAIE는 연료 보조비 삭감 반대 시위를 벌였는데, 특히 2019년에는 시위대와 군경 간의 충돌로 7명이 숨지고 2천 명이 다친 끝에 정부는 보조금 폐지 정책을 접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