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연방 정부가 셧다운, 일시적 업무 정지로 안전 자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제 금 시세가 사상 최고치를 다시 돌파했습니다.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897.5달러로 전장 대비 0.6% 오르며 종가 기준 최고치 기록을 다시 세웠습니다.
금 현물 가격도 장중 온스당 3,895.09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연방 정부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지속됐습니다.
미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달러화 가치가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인 것도 달러화로 환산한 금 가격을 오르게 하는 요인이 됐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대감이 커진 것도 금값이 5거래일 연속 랠리를 이어가게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0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을 기정사실로 하고 있습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페드 워치에서 금리 선물 시장은 10월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99%, 0.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1%로 각각 반영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897.5달러로 전장 대비 0.6% 오르며 종가 기준 최고치 기록을 다시 세웠습니다.
금 현물 가격도 장중 온스당 3,895.09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연방 정부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지속됐습니다.
미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달러화 가치가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인 것도 달러화로 환산한 금 가격을 오르게 하는 요인이 됐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대감이 커진 것도 금값이 5거래일 연속 랠리를 이어가게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0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을 기정사실로 하고 있습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페드 워치에서 금리 선물 시장은 10월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99%, 0.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1%로 각각 반영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