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과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를 둘러싼 종전 조건에 합의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완화한 가운데 원유 공급마저 확대 흐름으로 가면서 뉴욕 유가가 3% 이상 폭락 마감했습니다.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전장 대비 3.45% 급락한 배럴당 63.45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번 낙폭은 지난 6월 24일 이후 하루 최대 낙폭으로 서부 텍사스산 원유 가격은 지난 6월 23일 7.22% 폭락한 데 이어 24일에도 6.04% 폭락한 전례가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의 가자지구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평화 구상에 합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 지구가 극단주의가 제거된 테러 없는 지역이 될 것"이라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이 제안에 동의하면 전쟁은 즉시 끝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네타냐후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지지한다고 보조를 맞췄습니다.
이번 구상이 현실화할 경우 가자 지구는 비무장 지대가 되고 하마스는 무장 해제되는데 하마스가 이 제안에 동의할지는 미지수입니다.
가자 지구를 둘러싼 중동의 군사적 긴장은 유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해왔는데 이번 휴전으로 가자 지구가 비무장화하면 유가를 밀어 올리는 핵심 변수 중 하나가 사라지게 될 전망입니다.
이라크의 쿠르드 자치구역 원유가 튀르키예를 통해 수출을 재개하고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확대 협의체인 OPEC+가 11월에 산유량을 추가로 늘릴 계획을 세운 점도 시장에 공급 압박을 줬습니다.
이라크 석유부는 자국 쿠르드 자치구역에서 생산되는 원유 수출을 2년 6개월 만에 재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당시 이라크 정부는 쿠르드 자치정부가 승인 없이 튀르키예로 석유를 수출했다며 이는 1973년 체결된 이라크-튀르키예 송유관 합의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 주요 외신은 OPEC+가 산유량을 하루 최소 13만 7천 배럴을 늘리는 데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전장 대비 3.45% 급락한 배럴당 63.45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번 낙폭은 지난 6월 24일 이후 하루 최대 낙폭으로 서부 텍사스산 원유 가격은 지난 6월 23일 7.22% 폭락한 데 이어 24일에도 6.04% 폭락한 전례가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의 가자지구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평화 구상에 합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 지구가 극단주의가 제거된 테러 없는 지역이 될 것"이라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이 제안에 동의하면 전쟁은 즉시 끝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네타냐후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지지한다고 보조를 맞췄습니다.
이번 구상이 현실화할 경우 가자 지구는 비무장 지대가 되고 하마스는 무장 해제되는데 하마스가 이 제안에 동의할지는 미지수입니다.
가자 지구를 둘러싼 중동의 군사적 긴장은 유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해왔는데 이번 휴전으로 가자 지구가 비무장화하면 유가를 밀어 올리는 핵심 변수 중 하나가 사라지게 될 전망입니다.
이라크의 쿠르드 자치구역 원유가 튀르키예를 통해 수출을 재개하고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확대 협의체인 OPEC+가 11월에 산유량을 추가로 늘릴 계획을 세운 점도 시장에 공급 압박을 줬습니다.
이라크 석유부는 자국 쿠르드 자치구역에서 생산되는 원유 수출을 2년 6개월 만에 재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당시 이라크 정부는 쿠르드 자치정부가 승인 없이 튀르키예로 석유를 수출했다며 이는 1973년 체결된 이라크-튀르키예 송유관 합의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 주요 외신은 OPEC+가 산유량을 하루 최소 13만 7천 배럴을 늘리는 데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