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란이 국제사회에 알리지 않고 자체 탄도미사일 발사실험을 진행한 정황이 위성사진에서 포착됐다고 AP통신이 현지시간 25일 보도했습니다.
AP통신이 확보한 민간 위성서비스 '플래닛 랩스'의 최근 위성사진에는 이란 수도 테헤란 남동쪽 230㎞ 지점의 셈난주 '이맘 호메이니 우주발사장'의 발사패드에 로켓 발사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그을린 자국이 남북 방향으로 찍혀 있었습니다.
그을음은 고체연료 로켓이 발사되면서 발사패드에 쏟아진 불길이 남긴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AP통신은 분석했습니다.
이런 발사 흔적은 이달 18일 이전에 촬영된 위성 사진에는 없었습니다.
또한, 18일 이란 소셜미디어에는 로켓이 하늘에 남긴 비행 흔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비행운의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이란 당국은 무엇이 이 비행운을 남겼는지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란 국영매체 역시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란 의회의 한 의원은 대놓고 미사일 발사실험 진행 사실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모흐센 잔가네 이란 의회 의원은 지난 20일 자국 국영방송 인터뷰에서 이란이 18일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번에 시험한 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잔가네 의원은 강조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지금까지 시험 발사된 적이 없던 최첨단 미사일을 발사했다. 시험은 성공적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AP통신은 다만 잔가네 의원이 정보의 출처나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이란 의원들이 과거에도 과장된 주장을 한 사례가 없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발언의 의미를 한정했습니다.
미사일 발사 정황을 가리키는 다수 정황에도 이란은 아직 발사실험을 공식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AP통신은 당국이 발사실험 사실을 발표하지 않았고,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비행운의 궤적이 불규칙했다는 점에서 실험 자체가 실패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고 전했습니다.
AP통신은 이란이 자국 미사일 사정거리를 확대하려는 노력으로 이런 발사실험을 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란이 사거리 5천500㎞ 이상의 ICBM을 확보한다면 중동·유럽을 넘어 미국 본토까지 사정권에 둘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가 허락하는 것으로 전해진 미사일 사거리 2천㎞를 훌쩍 뛰어넘는다고 AP는 보도했습니다.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싱크탱크 민주주의 수호재단(FDD)의 베남 벤 탈레블루 연구원은 "이스라엘이 '12일 전쟁'에서 이란에 성공적인 미사일 공격을 수행한 결과, 이란에서는 탄도미사일 추가 개발과 미사일 성능 향상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란의 미사일 발사실험은 제재를 추진 중인 서방을 향한 반발 메시지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최근 유엔 안보리에서 이란의 핵 프로그램 개발 관련 제재가 복원되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이 결정에 따라 대이란 제재가 곧 복원될 예정입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P통신이 확보한 민간 위성서비스 '플래닛 랩스'의 최근 위성사진에는 이란 수도 테헤란 남동쪽 230㎞ 지점의 셈난주 '이맘 호메이니 우주발사장'의 발사패드에 로켓 발사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그을린 자국이 남북 방향으로 찍혀 있었습니다.
그을음은 고체연료 로켓이 발사되면서 발사패드에 쏟아진 불길이 남긴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AP통신은 분석했습니다.
이런 발사 흔적은 이달 18일 이전에 촬영된 위성 사진에는 없었습니다.
또한, 18일 이란 소셜미디어에는 로켓이 하늘에 남긴 비행 흔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비행운의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이란 당국은 무엇이 이 비행운을 남겼는지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란 국영매체 역시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란 의회의 한 의원은 대놓고 미사일 발사실험 진행 사실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모흐센 잔가네 이란 의회 의원은 지난 20일 자국 국영방송 인터뷰에서 이란이 18일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번에 시험한 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잔가네 의원은 강조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지금까지 시험 발사된 적이 없던 최첨단 미사일을 발사했다. 시험은 성공적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AP통신은 다만 잔가네 의원이 정보의 출처나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이란 의원들이 과거에도 과장된 주장을 한 사례가 없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발언의 의미를 한정했습니다.
미사일 발사 정황을 가리키는 다수 정황에도 이란은 아직 발사실험을 공식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AP통신은 당국이 발사실험 사실을 발표하지 않았고,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비행운의 궤적이 불규칙했다는 점에서 실험 자체가 실패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고 전했습니다.
AP통신은 이란이 자국 미사일 사정거리를 확대하려는 노력으로 이런 발사실험을 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란이 사거리 5천500㎞ 이상의 ICBM을 확보한다면 중동·유럽을 넘어 미국 본토까지 사정권에 둘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가 허락하는 것으로 전해진 미사일 사거리 2천㎞를 훌쩍 뛰어넘는다고 AP는 보도했습니다.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싱크탱크 민주주의 수호재단(FDD)의 베남 벤 탈레블루 연구원은 "이스라엘이 '12일 전쟁'에서 이란에 성공적인 미사일 공격을 수행한 결과, 이란에서는 탄도미사일 추가 개발과 미사일 성능 향상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란의 미사일 발사실험은 제재를 추진 중인 서방을 향한 반발 메시지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최근 유엔 안보리에서 이란의 핵 프로그램 개발 관련 제재가 복원되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이 결정에 따라 대이란 제재가 곧 복원될 예정입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