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매머드급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사업인 '스타게이트'에 필요한 칩을 구매가 아닌 리스 형태로 확보하고 이를 통해 추가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현지시간 24일 보도했습니다.
로이터는 오픈AI의 경영진을 인용해 이 회사가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AI 칩을 확보하기 위해 창의적인 자금 조달 옵션을 활용하기로 했다고 전했는데, 칩을 사는 대신 리스로 확보한다는 겁니다.
엔비디아는 최근 오픈AI에 최대 천억 달러(약 14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역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오픈AI는 첫 투자로 들어올 현금 100억 달러로 엔비디아의 AI 칩을 리스로 구매해 추가 자금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한 관계자는 이 경우 비용을 10∼15%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오픈AI가 추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리스는 구매와 달리 비용이 초기에 한꺼번에 투입되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분산돼 나가서 오픈AI는 잉여현금흐름이 확대되고 재무 상황이 개선돼 시장에서도 좀 더 유리한 조건으로 더 많은 자금(회사채 발행)을 조달할 수 있게 됩니다.
스타게이트 사업에 정통한 임원들은 이런 방식이 오픈AI가 앞으로 추가될 데이터센터 부지와 관련해 자금 조달 시장을 이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최근 합의 역시 오픈AI가 선납금을 내고 칩을 사는 대신 오랜 기간에 걸쳐 그 비용을 부담할 수 있게 하려는 더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라는 겁니다.
또 엔비디아의 지분 참여는 오픈AI에 대한 채권자들의 신뢰를 높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오픈AI는 아직 채권 발행에 나선 적은 없지만, 앞으로 지어질 데이터센터에서는 그렇게 할 계획입니다.
오픈AI는 또 23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오라클, 소프트뱅크와 함께 미국 텍사스 에빌린에서 스타게이트의 첫 데이터센터 가동식을 열면서 5개의 추가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새로 공개했습니다.
이 5곳에는 오라클이 추진하는 3곳, 소프트뱅크와 연관된 2곳이 포함됩니다.
새 데이터센터가 완공되면 그 규모는 최대 7GW(기가와트)의 전력을 소비하는 수준인데, 이는 초기에 제시된 스타게이트 목표치의 약 70%에 해당합니다.
로이터는 "모두 합쳐서 오픈AI의 프로젝트는 애초 스타게이트가 제시했던 컴퓨팅 파워 10GW 가운데 거의 7GW에 해당한다"고 짚었습니다.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애초 구상한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해졌고, AI 칩과 데이터센터와 관련해 오픈AI가 추진하는 거의 모든 것을 포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트먼 CEO는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매주 1GW 규모의 새 AI 인프라를 건설하는 지점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는 오픈AI의 경영진을 인용해 이 회사가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AI 칩을 확보하기 위해 창의적인 자금 조달 옵션을 활용하기로 했다고 전했는데, 칩을 사는 대신 리스로 확보한다는 겁니다.
엔비디아는 최근 오픈AI에 최대 천억 달러(약 14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역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오픈AI는 첫 투자로 들어올 현금 100억 달러로 엔비디아의 AI 칩을 리스로 구매해 추가 자금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한 관계자는 이 경우 비용을 10∼15%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오픈AI가 추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리스는 구매와 달리 비용이 초기에 한꺼번에 투입되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분산돼 나가서 오픈AI는 잉여현금흐름이 확대되고 재무 상황이 개선돼 시장에서도 좀 더 유리한 조건으로 더 많은 자금(회사채 발행)을 조달할 수 있게 됩니다.
스타게이트 사업에 정통한 임원들은 이런 방식이 오픈AI가 앞으로 추가될 데이터센터 부지와 관련해 자금 조달 시장을 이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엔비디아와의 최근 합의 역시 오픈AI가 선납금을 내고 칩을 사는 대신 오랜 기간에 걸쳐 그 비용을 부담할 수 있게 하려는 더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라는 겁니다.
또 엔비디아의 지분 참여는 오픈AI에 대한 채권자들의 신뢰를 높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오픈AI는 아직 채권 발행에 나선 적은 없지만, 앞으로 지어질 데이터센터에서는 그렇게 할 계획입니다.
오픈AI는 또 23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오라클, 소프트뱅크와 함께 미국 텍사스 에빌린에서 스타게이트의 첫 데이터센터 가동식을 열면서 5개의 추가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새로 공개했습니다.
이 5곳에는 오라클이 추진하는 3곳, 소프트뱅크와 연관된 2곳이 포함됩니다.
새 데이터센터가 완공되면 그 규모는 최대 7GW(기가와트)의 전력을 소비하는 수준인데, 이는 초기에 제시된 스타게이트 목표치의 약 70%에 해당합니다.
로이터는 "모두 합쳐서 오픈AI의 프로젝트는 애초 스타게이트가 제시했던 컴퓨팅 파워 10GW 가운데 거의 7GW에 해당한다"고 짚었습니다.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애초 구상한 것보다 훨씬 더 광범위해졌고, AI 칩과 데이터센터와 관련해 오픈AI가 추진하는 거의 모든 것을 포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트먼 CEO는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매주 1GW 규모의 새 AI 인프라를 건설하는 지점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