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포기를 전제로 한 북미대화' 의향을 드러낸 가운데, 미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현지시간 23일 보도했습니다.
통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여전히 미국의 정책이라면서, 지금 당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유엔 총회를 계기로 22일 뉴욕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의에서도 세 장관은 완전한 북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 제안에 대해 언급할 수 있는 기회로 보였던 23일 유엔총회 기조 연설 때 북한과 관련한 언급을 아예 하지 않았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해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것으로 북한 관영 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상황에서 두 사람 사이의 4번째 대면이 이뤄질지에 외교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일단 미측은 김 위원장의 대화 의향 피력이 있었다고 해서 북한 비핵화 목표를 옆으로 치워 놓지는 않겠다는 취지의 신중한 기류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향후 북미 간의 물밑 조율 과정을 거쳐 APEC 계기에 판문점에서 북미 정상이 만날 가능성은 여전히 살아있다는 것이 외교가의 대체적인 예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때 두 정상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이듬해 2월 하노이에서 각각 정식 회담을 했고,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깜짝 회동'을 가졌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통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여전히 미국의 정책이라면서, 지금 당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유엔 총회를 계기로 22일 뉴욕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의에서도 세 장관은 완전한 북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 제안에 대해 언급할 수 있는 기회로 보였던 23일 유엔총회 기조 연설 때 북한과 관련한 언급을 아예 하지 않았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해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것으로 북한 관영 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상황에서 두 사람 사이의 4번째 대면이 이뤄질지에 외교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일단 미측은 김 위원장의 대화 의향 피력이 있었다고 해서 북한 비핵화 목표를 옆으로 치워 놓지는 않겠다는 취지의 신중한 기류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향후 북미 간의 물밑 조율 과정을 거쳐 APEC 계기에 판문점에서 북미 정상이 만날 가능성은 여전히 살아있다는 것이 외교가의 대체적인 예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때 두 정상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이듬해 2월 하노이에서 각각 정식 회담을 했고,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깜짝 회동'을 가졌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