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책사로 꼽히는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방준비제도(연준) 이사가 현지 시간 22일, 기준금리가 중립 수준보다 약 2%포인트 높은 긴축적 영역에 머물러 있다며, 공격적으로 인하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이런 이사는 뉴욕에서 열린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요점은 통화정책이 제한적 영역에 깊이 들어와 있다는 것"이라며 "단기금리를 (적정치보다) 약 2%포인트 정도 높게, 너무 긴축적으로 두는 건 불필요한 해고와 더 높은 실업률의 위험에 빠뜨린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 정책과 이민 정책, 규제 완화, 관세 수입 등 영향으로 기준금리를 2%대 초반으로 현 수준보다 약 2%포인트 추가 인하할 수 있는 경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마이런 이사는 적정금리 추정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테일러 준칙'을 근거로 활용하기도 했습니다.
'테일러 준칙'이란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가 제시한 통화정책 운용 원칙으로, 실물 경기상황과 물가 상승 압력을 고려해 경제 상황에 맞는 적정한 금리 수준을 산출합니다.
마이런 이사는 "나는 현 통화정책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으며, 연준의 고용 극대화 임무에 실질적 위험을 제기한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연준은 지난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4.00∼4.25%로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당시 마이런 이사는 반대 의견을 내고 홀로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했습니다.
지난 16일 취임한 마이런 이사는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내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설계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입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마이런 이사는 뉴욕에서 열린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요점은 통화정책이 제한적 영역에 깊이 들어와 있다는 것"이라며 "단기금리를 (적정치보다) 약 2%포인트 정도 높게, 너무 긴축적으로 두는 건 불필요한 해고와 더 높은 실업률의 위험에 빠뜨린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 정책과 이민 정책, 규제 완화, 관세 수입 등 영향으로 기준금리를 2%대 초반으로 현 수준보다 약 2%포인트 추가 인하할 수 있는 경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마이런 이사는 적정금리 추정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테일러 준칙'을 근거로 활용하기도 했습니다.
'테일러 준칙'이란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가 제시한 통화정책 운용 원칙으로, 실물 경기상황과 물가 상승 압력을 고려해 경제 상황에 맞는 적정한 금리 수준을 산출합니다.
마이런 이사는 "나는 현 통화정책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으며, 연준의 고용 극대화 임무에 실질적 위험을 제기한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연준은 지난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4.00∼4.25%로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당시 마이런 이사는 반대 의견을 내고 홀로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했습니다.
지난 16일 취임한 마이런 이사는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내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설계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입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