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가져온 경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값이 '오일 쇼크' 시기인 1979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보도했습니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는 뉴욕 상품 거래소에서 9월 만기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천649.4달러로,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습니다.
금값은 올해 들어 39% 상승하며 코로나19 팬데믹 급락 장세는 물론 2007∼2009년 금융위기 때보다 더 가파른 상승 폭을 나타냈습니다.
금값이 이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것은 중동발 오일 쇼크로 전 세계 인플레이션이 급등세를 나타냈던 1979년 이후 처음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설명했습니다.
또 "최근 상승은 부분적으로 백악관에 기인하는데 소액 투자자건 대규모 투자자건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금으로 달려들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을 위협해 달러화 가치 지속에 대한 의구심을 키운 게 안전 자산으로서 금의 수요를 늘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적인 해결을 장담한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전쟁이 문제 해결을 향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도 시장을 불안케 하는 요인이란 지적입니다.
이에 거액 자산가들은 실물 금 보유를 늘리는 분위기입니다.
자산가들을 상대로 보안 금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인 영국의 IBV 인터내셔널 볼츠는 최근 고객들로부터 실물 금 매수 주문이 급증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에 전했습니다.
IBV는 "다수의 고객이 금값은 더 오를 것이라 보고 팔기보다는 매수를 지속하고 있다"며 실물 금을 보관할 수 있는 금고 규모를 내년 중 두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선진국의 많은 금 투자자는 금 상장지수펀드 (ETF)를 금 투자 수단으로 삼고 있습니다.
시장 데이터 업체 모닝스타 다이렉트는 실물 금에 투자하는 뉴욕증시 상장 금 ETF의 순자산은 올해 들어 43%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연준이 이달 금리 인하를 개시할 것이란 신호를 보낸 것도 단기 투자자들을 금 시장에 몰려들게 해 최근 금값 랠리를 강화한 배경이 됐습니다.
금은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미 국채 실질금리가 하락할 때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삭소 방크는 단기 투자자인 헤지펀드들이 이달 초까지 원자재 포트폴리오의 47%를 금으로 보유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운용사 스테이트 스트리트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둔화 속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증가했는데 이는 금값 상승에 있어 완벽한 환경"이라고 진단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는 뉴욕 상품 거래소에서 9월 만기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천649.4달러로,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습니다.
금값은 올해 들어 39% 상승하며 코로나19 팬데믹 급락 장세는 물론 2007∼2009년 금융위기 때보다 더 가파른 상승 폭을 나타냈습니다.
금값이 이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것은 중동발 오일 쇼크로 전 세계 인플레이션이 급등세를 나타냈던 1979년 이후 처음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설명했습니다.
또 "최근 상승은 부분적으로 백악관에 기인하는데 소액 투자자건 대규모 투자자건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금으로 달려들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을 위협해 달러화 가치 지속에 대한 의구심을 키운 게 안전 자산으로서 금의 수요를 늘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적인 해결을 장담한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전쟁이 문제 해결을 향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도 시장을 불안케 하는 요인이란 지적입니다.
이에 거액 자산가들은 실물 금 보유를 늘리는 분위기입니다.
자산가들을 상대로 보안 금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인 영국의 IBV 인터내셔널 볼츠는 최근 고객들로부터 실물 금 매수 주문이 급증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에 전했습니다.
IBV는 "다수의 고객이 금값은 더 오를 것이라 보고 팔기보다는 매수를 지속하고 있다"며 실물 금을 보관할 수 있는 금고 규모를 내년 중 두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선진국의 많은 금 투자자는 금 상장지수펀드 (ETF)를 금 투자 수단으로 삼고 있습니다.
시장 데이터 업체 모닝스타 다이렉트는 실물 금에 투자하는 뉴욕증시 상장 금 ETF의 순자산은 올해 들어 43%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연준이 이달 금리 인하를 개시할 것이란 신호를 보낸 것도 단기 투자자들을 금 시장에 몰려들게 해 최근 금값 랠리를 강화한 배경이 됐습니다.
금은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미 국채 실질금리가 하락할 때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삭소 방크는 단기 투자자인 헤지펀드들이 이달 초까지 원자재 포트폴리오의 47%를 금으로 보유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운용사 스테이트 스트리트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둔화 속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증가했는데 이는 금값 상승에 있어 완벽한 환경"이라고 진단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