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국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 광산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한 가운데 일본 측은 오는 13일 추도식을 강행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교도통신은 니가타 현과 사도 시, 현지 민간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도 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최근 계획대로 오는 13일 추도식을 현지에서 열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우리 정부가 추도식 개최 일정이 전해진 지난 4일 추도사 등을 이유로 올해 추도식에 불참할 것을 표명한 가운데 나온 결정입니다.
우리 정부 관계자는 당시 불참 결정과 관련해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는 유가족들에게도 이런 입장을 알렸고 사도 섬에서 자체 추도식을 별도로 개최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11월 24일 사도 시에서 열린 첫 추도식도 한국 유족과 정부 관계자들이 빠지면서 '반쪽짜리' 행사가 됐으며 우리 측은 이튿날 사도 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별도의 추도 행사를 열었습니다.
YTN 신호 (sin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교도통신은 니가타 현과 사도 시, 현지 민간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도 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최근 계획대로 오는 13일 추도식을 현지에서 열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우리 정부가 추도식 개최 일정이 전해진 지난 4일 추도사 등을 이유로 올해 추도식에 불참할 것을 표명한 가운데 나온 결정입니다.
우리 정부 관계자는 당시 불참 결정과 관련해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는 유가족들에게도 이런 입장을 알렸고 사도 섬에서 자체 추도식을 별도로 개최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11월 24일 사도 시에서 열린 첫 추도식도 한국 유족과 정부 관계자들이 빠지면서 '반쪽짜리' 행사가 됐으며 우리 측은 이튿날 사도 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별도의 추도 행사를 열었습니다.
YTN 신호 (sin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