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중산층이 8월 들어 경제 상황에 대해 급격히 비관적인 견해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지 시간 31일, 미국 미시간대가 집계한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가 58.2로 한 달 전보다 5.7% 떨어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지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탓에 올해 초 하락 흐름을 지속하다가 5월 보합에 머문 뒤 6∼7월 무역 협상 진전과 증시 랠리에 힘입어 반등했습니다.
그러나 관세 부과가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 속에 소비자 심리가 다시 하락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한 설문에서도 8월 들어 소비자신뢰지수가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월 들어 나타난 이런 경제 낙관론 후퇴는 미 중산층의 경제 심리 악화가 주된 요인이 됐다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소득 연 5만 달러 미만의 가계는 올해 들어 경제 심리가 이미 악화했고, 가계소득 연 10만 달러 이상의 가계는 여전히 낙관론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득 연 5만∼10만 달러 구간 가계의 심리가 최근 들어 급격히 악화했다는 겁니다.
WSJ이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모닝컨설트 측은 "모든 일이 잘 풀릴 것으로 여겨지면서 중산층 소비자의 심리가 잠시 호전되는 기간이 있었다가 심리가 급격히 악화한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소매업체 임원이나 경제 전문가들도 최근 중산층의 급격한 심리 악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최근 공개석상에서 "저소득층은 물론 중간 소득층마저 현재 여윳돈이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맥도널드는 최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저소득층 고객이 줄어드는 대신 중산층 소비자들 방문이 늘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신발 브랜드 크록스의 앤드루 리스 최고경영자(CEO)도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고가 제품에 집중하는 브랜드들은 실적이 좋은 상황"이라며 "반면 저가 제품 소비자들은 가격 상승에 매우 민감하고, 경제 상황을 우려하고 있으며 일부는 아예 집에만 머물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지 시간 31일, 미국 미시간대가 집계한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가 58.2로 한 달 전보다 5.7% 떨어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지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탓에 올해 초 하락 흐름을 지속하다가 5월 보합에 머문 뒤 6∼7월 무역 협상 진전과 증시 랠리에 힘입어 반등했습니다.
그러나 관세 부과가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 속에 소비자 심리가 다시 하락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한 설문에서도 8월 들어 소비자신뢰지수가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월 들어 나타난 이런 경제 낙관론 후퇴는 미 중산층의 경제 심리 악화가 주된 요인이 됐다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소득 연 5만 달러 미만의 가계는 올해 들어 경제 심리가 이미 악화했고, 가계소득 연 10만 달러 이상의 가계는 여전히 낙관론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득 연 5만∼10만 달러 구간 가계의 심리가 최근 들어 급격히 악화했다는 겁니다.
WSJ이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모닝컨설트 측은 "모든 일이 잘 풀릴 것으로 여겨지면서 중산층 소비자의 심리가 잠시 호전되는 기간이 있었다가 심리가 급격히 악화한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소매업체 임원이나 경제 전문가들도 최근 중산층의 급격한 심리 악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최근 공개석상에서 "저소득층은 물론 중간 소득층마저 현재 여윳돈이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맥도널드는 최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저소득층 고객이 줄어드는 대신 중산층 소비자들 방문이 늘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신발 브랜드 크록스의 앤드루 리스 최고경영자(CEO)도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고가 제품에 집중하는 브랜드들은 실적이 좋은 상황"이라며 "반면 저가 제품 소비자들은 가격 상승에 매우 민감하고, 경제 상황을 우려하고 있으며 일부는 아예 집에만 머물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