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SCO정상회의 전날 유엔사무총장과 회담...모디도 방중

시진핑, SCO정상회의 전날 유엔사무총장과 회담...모디도 방중

2025.08.31. 오전 00:0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러시아 주도의 국제기구인 상하이협력기구(SCO) 개최 전날인 30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회담했습니다.

시 주석은 톈진 영빈관에서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중국은 언제나 유엔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될 것"이라면서 "유엔에 안정성과 확실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우리는 새로운 정세 속에서 유엔이 권위와 활력을 되찾아 각국이 행동을 조율하고 도전에 함께 대응하는 주요 플랫폼이 되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유엔은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세계의 다극화를 추진하고 개발도상국의 위상을 높여 유엔이 국제사무에서 더 큰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SCO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7년 만에 중국을 방문했으며, 이집트와 캄보디아 등 각국 정상들도 잇달아 도착해 시 주석을 만났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SCO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다음 달 3일 열리는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도 참관합니다.

푸틴 대통령은 SCO 정상회의 기간에 서방의 제재 압박에 직면한 이란의 마수드 페제시키안 대통령과 만나 이란 핵 문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톈진에서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에는 이들을 비롯해 20여 개국 지도자와 국제기구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합니다.

올해 SCO에서는 공동성명 등을 통해 미국에 대한 견제 목소리를 낼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2001년 중러가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4개국과 시작한 SCO는 2017년 인도·파키스탄, 2023년 이란, 2024년 벨라루스 등이 추가로 들어오면서 회원이 10개국으로 늘었습니다.

또 몽골·아프가니스탄 등 옵서버 2개국, 아제르바이잔 등 대화 파트너 14개국을 포함해 전체 구성국은 26개국으로 증가했으며, 회원국 영토 면적이나 인구수 기준 세계 최대 국제조직이라는 것이 중국 매체 설명입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