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서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부상으로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실증적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스탠퍼드대의 에릭 브리뇰프슨 등 경제학자 3명은 AI가 일부 미국 청년들의 고용 가능성을 극심하게 제한하고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AI의 타격을 받는 분야는 소프트웨어 개발처럼 자동화하기 쉬운 업무들이었습니다.
다만 연구진은 AI가 일자리를 대체하기보단 업무를 도와줄 수 있는 영역에서는 외려 젊은이 일자리가 개선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수만 개 기업에서 나온 직원 수백만 명의 익명 데이터를 분석했으며 여기엔 직원들의 연령과 직업 같은 세부 정보도 담겼습니다.
연구진은 우선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사무실·병원 등의 안내원, 통·번역가, 고객센터 상담원 같은 직무 분야를 살펴봤는데 2022년 말 이후 실제 이 분야의 고용이 다른 직종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화했습니다.
특히 젊은 층에 타격이 집중됐습니다.
2022년 말은 오픈AI의 AI 챗봇 '챗GPT'가 출시된 시점입니다.
예컨대 22∼25세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고용 규모는 2022년 말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7월엔 거의 20%나 줄었습니다.
26∼30세의 고용 규모는 거의 유지됐고 30세 이후 연령대의 고용 규모는 계속 증가했습니다.
연구진은 나이 든 직원들이 획득한 자동화하기 어려운 기량이 AI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례로 선임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과 협업하며 회사가 필요한 제품을 내놓는 역량을 가졌을 수 있는데 이는 자동화로 대체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WSJ은 이에 따라 "젊은 직원들이 직장에서 직무를 습득하는 방식을 재고해야 할지 모른다"고 짚었습니다.
연구에서는 또 AI가 일자리 대체가 아닌 직무 보조 역할을 할 수 있는 영역에선 청년 일자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테면 의료 직군에선 AI가 더 신속한 진단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WSJ은 그동안 특정 직업군에 대한 AI의 영향을 보여주는 단편적 사례들은 있었지만, 이 신기술이 고용 시장을 크게 짓누르고 있다는 구체적 증거는 거의 없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AI의 파괴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가장 뚜렷한 지표 중 하나"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스탠퍼드대의 에릭 브리뇰프슨 등 경제학자 3명은 AI가 일부 미국 청년들의 고용 가능성을 극심하게 제한하고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AI의 타격을 받는 분야는 소프트웨어 개발처럼 자동화하기 쉬운 업무들이었습니다.
다만 연구진은 AI가 일자리를 대체하기보단 업무를 도와줄 수 있는 영역에서는 외려 젊은이 일자리가 개선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수만 개 기업에서 나온 직원 수백만 명의 익명 데이터를 분석했으며 여기엔 직원들의 연령과 직업 같은 세부 정보도 담겼습니다.
연구진은 우선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사무실·병원 등의 안내원, 통·번역가, 고객센터 상담원 같은 직무 분야를 살펴봤는데 2022년 말 이후 실제 이 분야의 고용이 다른 직종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화했습니다.
특히 젊은 층에 타격이 집중됐습니다.
2022년 말은 오픈AI의 AI 챗봇 '챗GPT'가 출시된 시점입니다.
예컨대 22∼25세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고용 규모는 2022년 말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7월엔 거의 20%나 줄었습니다.
26∼30세의 고용 규모는 거의 유지됐고 30세 이후 연령대의 고용 규모는 계속 증가했습니다.
연구진은 나이 든 직원들이 획득한 자동화하기 어려운 기량이 AI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례로 선임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과 협업하며 회사가 필요한 제품을 내놓는 역량을 가졌을 수 있는데 이는 자동화로 대체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WSJ은 이에 따라 "젊은 직원들이 직장에서 직무를 습득하는 방식을 재고해야 할지 모른다"고 짚었습니다.
연구에서는 또 AI가 일자리 대체가 아닌 직무 보조 역할을 할 수 있는 영역에선 청년 일자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테면 의료 직군에선 AI가 더 신속한 진단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WSJ은 그동안 특정 직업군에 대한 AI의 영향을 보여주는 단편적 사례들은 있었지만, 이 신기술이 고용 시장을 크게 짓누르고 있다는 구체적 증거는 거의 없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AI의 파괴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가장 뚜렷한 지표 중 하나"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